- 영문명
- Review of Examples of Teacher’s Curriculum in Histor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성자(Sungja K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9호, 769~78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5.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역사 교사들이 구성한 교사 교육과정의 사례를 바탕으로 역사과 교사 교육과정 구성의 특징과 양상을 검토하였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학술지에 발표된 연구물과 석⋅박사 학위 논문, 단행본에서 역사과 교사 교육과정의 사례를 수집한 뒤, 사례들에 나타난 역사과 교사 교육과정 구성 방식, 역사교과에 대한 인식에 따른 교사 교육과정의 구성 형태, 학생의 역사 이해를 고려하는 방식을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역사과 교사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방식은, 교과서를 재조직하는 방식, 역사 교과서의 서사에 대한 비판적인 분석을 바탕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방식, 국가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바탕으로 교사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방식, 국가 교육과정이나 교과서보다는 교사 자신의 수업철학이나 신념 등을 바탕으로 교사 나름대로의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방식 등이 있었다. 둘째, 역사 교사들은 역사 교과에 대한 자신의 인식을 토대로 교육과정을 구성하였고, 역사 교과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따라 교육과정의 모습도 크게 달라졌다. 셋째, 역사 교육과정을 구성할 때 학생을 고려하는 방식은, 특정 주제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 수준을 고려하여 내용을 삭제⋅추가하거나 내용 조직 방식을 수정하는 방식, 교실 밖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경험을 통해 얻게 된 학생들의 선행 역사 지식, 역사 인식을 토대로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방식, 학생들의 삶에 의미있는 내용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방식이 있었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의 역사 이해와 교사 교육과정에 대한 성찰을 중심으로 역사과 교사 교육과정을 구성할 때 고려해야 할 점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review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history teacher curriculum based on examples of the teacher curriculum constructed by history teachers.
Methods This study collected examples of the history teacher curriculum from research papers, dissertations, and books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on the subject of history curriculum reconstruction and history teacher curriculum. This study analyzed the history teacher s curriculum design method, the form of teacher’s curriculum according to the perception of the history subject and considering the student s understanding of history in the cases.
Results First, the history teacher constructed the curriculum in the following way. Reorganizing textbooks, developing a curriculum based on critical analysis of the narrative of history textbooks, constructing a teacher curriculum based on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national curriculum, creating a teacher s own curriculum based on teaching philosophy or belief. Second, history teachers formed a curriculum based on their own perceptions of history subjects. Third, when history teachers constructed the curriculum, they considered students in the following way. A method of deleting or adding content or modifying the content organization in consideration of students’ level of understanding on a specific topic, a method of developing a curriculum based on students’ prior historical knowledge and historical understanding gained through various experiences outside the classroom, a way to construct the curriculum focusing on meaningful content in the lives of students.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points to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the history teacher curriculum with a focus on students understanding of history and reflection on the teacher curriculum.
목차
Ⅰ. 서론
Ⅱ. 교육과정 재구성과 교사 교육과정
Ⅲ. 역사 교사의 교육과정 구성 양상과 특징
Ⅳ. 역사과 교사 교육과정, 무엇을 고려해야 하는가?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