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n the face threat analysis of Korean compliment and it s educational appli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relativism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영상(Kim, Youngsa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9호, 749~76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5.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드라마 말뭉치를 통해 평가적⋅감정적 칭찬 화행의 체면 위협성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교육적 적용점을 제시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직장 드라마 <미생>, <비밀의 숲>, <라이프>를 대상으로 평가적⋅감정적 칭찬 화행을 추출한 후, Brown & Levinson(1987)에 의해 체면 위협에 영향을 주는 사회언어학적 변인들로 제시된 변인들 중 화자와 청자 사이의 서열 관계 및 성별 관계를 주석했다. 다음으로 칭찬 반응을 1. 적극 수용 2. 소극 수용 3. 비수용으로 분류한 후 각 반응에 따른 칭찬의 체면 위협성을 분석했다. 이를 통해 한국어 평가적⋅감정적 칭찬의 체면 위협성을 분석하고, 한국어의 체면 위협성 분석에 있어서 Brown과 Levinson(1987)이 제시한 공손 이론의 적용 여부를 살펴봤다.
결과 평가적 칭찬 화행의 경우 감정적 칭찬 화행에 비해 상대적으로 체면 위협성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발화 시 화자와 청자 사이의 서열 관계에 더욱 민감한 편이었다. 반면에 감정적 칭찬 화행의 경우에는 평가적 칭찬 화행에 비해 서열 관계에 덜 민감한 편이었으며, 주로 여성에 의해 수행되는 경향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칭찬 응답의 경우 평가적 칭찬 화행에 대한 응답은 비수용의 비중이 컸고, 감정적 칭찬 화행에 대한 응답은 소극 수용의 비중이 큰 편이었다.
결론 개인주의 문화권 학생들의 경우 한국 학생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서열 관계에 대한 민감성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이들에게 평가적 칭찬을 교육할 때, 서열 관계 및 겸양의 중요성을 가르쳐 화용적 실패(pragmatic failure)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In this study, the face threat of evaluative and emotional compliment dialogue act was analyzed through the Korean drama corpus, and it s educational application is suggested.
Methods For this purpose, we study the face threat of Korean evaluative and emotional compliments by analyzing hierarchical and sex relationship for workplace dramas , , and . Not only that, we examined whether the politeness theory proposed by Brown & Levinson(1987) can be applied to study of the face threat of Korean compliments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face threat of evaluative compliment dialogue act was relatively greater than that of emotional compliment dialogue act, and in the case of evaluative compliment speech, it was more sensitive to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emotional compliment dialogue act, compared to the evaluative compliment dialogue act, it was less sensitive to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 and it tended to be mainly performed by women. Lastly, in the case of compliment response analysis, responses to the evaluative compliment dialogue act had a large proportion of non-acceptance, and the response to the emotional compliment dialogue act had a large proportion of passive acceptance.
Conclusions It is true that students from individualistic cultures may be relatively less sensitive to hierarchical relationship with listeners than Korean students, when speaking the evaluative compliments.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minimize pragmatic failure by teaching them the importance of hierarchy and humility when educating them with the evaluative complimen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분석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교육적 적용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부록: 칭찬 반응 유형별 예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