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ollege Students’ Learning engagement, Motiva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in Online learning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상미(Kim, Sang-mi) 이혜주(Lee, Hye-ju)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9호, 733~747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5.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COVID-19와 함께 전면 확대된 대학의 비대면 온라인 학습상황에서 학습참여, 학업동기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학습적 자기효능감의 매개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이들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해 2020년 B시 소재 A 대학교 재학생 370명이 참여한 K-NSSE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SPSS와 Amos 22를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첨도, 왜도, 하위변인의 상관관계,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모형의 경로계수 유의미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모형 적합도를 확인하고 부트스트랩핑(Bootstrapping)을 통해 세 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유의미학습, 반성적 학습, 자기주도학습을 하위요인으로 포함하는 학습참여는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습동기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학습동기와 유의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학습참여와 학습동기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부분 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상기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온라인 학습상황에서 대학 교육에서 강조되고 있는 고차원적, 심층적 학습 유형에 대한 참여경험이 학생들의 내재적, 정서적 요인에도 유의한 정적 관계가 있음을 제시하였고, 관련 요인들을 포함하여 학생들의 인지와 심리적 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교수설계와 수업 실천 방안에 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tudent engagement, academic self-efficacy, and learning motivation in a non-face-to-face online learning situation at a university, which has been fully expanded with COVID-19.
Method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engagement and learning motivation as well as a mediating influence of self-efficacy, the 2020 K-NSSE data from University A in B city was used in this study, and the mean, standard deviation, kurtosis, skewness, and correlation between the sub-variables of the latent variables were used to test the study model using SPSS Statistics 22 and Amos 22.
Results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udy discovered that the student engagement, which includes sub-factors such as meaningful learning, reflective learn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has an impact on academic self-efficacy and learning motivation. Second, academic self-efficacy has an impact on motivation to learn. Third, academic self-efficacy was discovered to have a partly mediating influence in the link between student engagement and learning motivation. As a result, it was verified that students engagement had a direct effect on learning motivation and an indirect effect on learning motivation via academic self-efficacy as a medium.
Conclusions Based on this, this study suggested directions to be considered for improving teaching and learning design and practice at online learning environment in universities as implication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