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2015 Revised Special Education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Analysis and Prospect: Focusing on physical education for the visually impaired in the third grade of elementary school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원한나(Hanna Won) 김경래(Kyeonglae K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9호, 689~70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5.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2022 개정 특수교육 공통교육과정 체육의 시각장애 학생을 위한 측면에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2015 개정 특수교육 공통교육과정 체육과 시각장애 학생 초3 체육 지도서를 분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15 개정 특수교육 공통교육과정 체육을 대상으로 교육과정 직접 비교 분석과 OECD역량 중심 CCM을 실시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의거하여 개발된 9종 초3 체육 지도서의 형식 및 내용 체계를 분석하기 위해 비교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결과 교육과정 분석에서 연계성은 있으나 특수성이 부족하고, OECD에서 제시한 28가지의 역량 중 43%의 핵심역량만 반영하고 있다. 지도서 분석에서 형식적인 측면에서 지도서의 양이 부족하고, 도전과 경쟁 영역이 상대적으로 빈약하다. 내용적인 측면에서 교육과정의 구성과 내용을 충실히 담고 있으나 시각중복장애학생의 비율이 높아지는 학교의 여건을 고려하지 못하였다. 또, 다양한 자료와 학생참여활동 등 다양한 과정 중심의 평가가 결여되어 있다.
결론 2015개정 특수교육 체육교육과정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2022 개정 특수교육 공통교육과정 체육의 방향을 다양한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in order to suggest the direction for the visually impaired students in the 2022 revised special education common curriculum physical education, the 2015 revised special education common curriculum physical education and physical education guide for visually impaired students were analyzed.
Method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irect comparative analysis and OECD competency-oriented CCM were conducted for physical education in the 2015 revised special education common curriculum. A comparative analysis method was used to analyze the format and content system of the 9 types of elementary 3 physical education guides developed bas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Results In the curriculum analysis, although there is connection, it lacks specificity, and only 43% of the core competencies among the 28 competencies suggested by the OECD are reflected. In the guidebook analysis, the amount of guidebooks is insufficient in terms of formality, and the areas of challenge and competition are relatively poor. In terms of content, the structure and contents of the curriculum are faithfully included, but the school conditions where the proportion of students with visual overlapping disabilities is increasing were not taken into account. In addition, there is a lack of evaluation based on various processes such as various materials and student participation activities.
Conclusions The purposes of this stud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direction of physical education in the 2022 revised special education common curriculum was discussed in various aspec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