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status, social activities, formal education and cognitive function of the seniors who live in metropoli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정은(Jung Eun L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9호, 109~122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5.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대도시 재가노인의 사회활동과 정규교육 및 평생교육 참여가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노인의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개입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 자료를 수집하는 것이다.
방법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실시한 2020년도 노인실태조사의 데이터 중 대도시 재가노인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5대 광역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4,181명이었다. 빈도분석, 기술통계, 교차분석을 통해 주요 변수별 연구대상자의 현황과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고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주요변수 사이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또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건강상태, 사회활동과 정규교육이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결과 노인의 68.6%는 인지기능 정상이었으며 31.4%는 인지기능 저하 상태였다. 성별, 연령, 교육수준에 따라 우울, 건강상태, 사회활동, 정규교육, 인지기능의 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나이, 성별, 우울을 통제한 상태에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건강상태, 사회활동 및 정규교육이 노인의 인지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 노인의 인지기능을 유지시키기 위해 사회활동을 강화해야 하며 평생교육 참여가 인지기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야 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ealth status, social activities, formal education on cognitive function of the seniors who live in metropolis.
Methods The data from the 2020 Survey on Seniors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were analyzed.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4,181 seniors aged 65 or older living in Seoul and the five major metropolis of South Korea. The current status of study subjects and differences between groups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cross-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variables was confirm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The effects of health conditions, social activities and regular education on cognitive function was analyzed through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sults 68.6% of the seniors had normal cognitive function and 31.4% had poor cognitive func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pression, health status, social activity, regular education, and cognitive function level according to gender, age, and education level. As a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nder the control of age, gender, and depression, health status, social activities, and regular education were found to be factors influencing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elderly.
Conclusions Social activities should be strengthened to maintain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elderly, and lifelong education participation should seek ways to positively affect cognitive func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