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 of Caregiver’s Stress on Turnover Intention: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 발행기관
- K교육연구학회
- 저자명
- 박선숙(Park, Sun-Sook)
- 간행물 정보
- 『사회과학리뷰』제7권 제1호, 1~32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4.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스트레스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살펴본 후 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이를 최소화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G광역시에 위치한 재가노인복지센터 요양보호사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SPSS 22.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측정도구에 대한 내적 일치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신뢰도 분석(Cronbach s α)을 실시하였으며,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를 실시하였고 주요변수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요양보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은 낮고 이직 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요양보호사가 느끼는 대인관계 스트레스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요양보호사의 직무 스트레스가 자아존중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요양보호사의 이직 의도에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요양보호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는 자아존중감과 이직 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존중감도 이직 의도에 경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minimize the stress of caregivers by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then analyzing the effect on caregivers turnover intention.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500 caregivers at the home elderly welfare center located in G Metropolitan City. For data analysis, SPSS 22.0 was used, and reliability analysis (Cronbach s α) was performed to find out the degree of internal agreement with the measurement tool,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ANOVA) were performed,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with the main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higher the job stress and the interpersonal stress of the caregivers, the lower the self-esteem and the higher the turnover intention. Second, the higher the job stress, the higher the interpersonal stress felt by the caregivers. Third, it was found that job stress of caregivers had a negative effect on self-esteem, and it was found that it had a strong effect on the intention to change jobs. Fourth, interpersonal stress of caregivers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self-esteem and turnover intention. It was found that self-esteem also had a slight effect on the intention to leav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