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Biological Activities on Irradiated Lemon Balm (Melissa officinalis) Extract
- 발행기관
- K교육연구학회
- 저자명
- 김효민(Kim, Hyo Min) 이인철(Lee, In Chul)
- 간행물 정보
- 『사회과학리뷰』제7권 제1호, 53~67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4.30

국문 초록
레몬밤(Melissa officinalis) 열수 및 70% 에탄올 추출물과 그 이후 방사선 조사 후에 대한 생리 활성을 조사하여 천연소재로서의 응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먼저,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한 결과, 방사선 조사 전 레몬밤 열수(LBW) 및 70% 에탄올(LBE) 추출물은 497.06 ± 0.7 mg/100 g, 645.79 ± 0.8 mg/100 g을 나타내었고 방사선 조사(25 kGy) 후 레몬밤 열수(LBW-r) 및 70% 에탄올(LBE-r) 추출물은 321.11 ± 0.3 mg/100 g, 386.02 ± 0.1 mg/100 g의 함량이 나타났다. 또한 전자공여능 측정 결과, 1,000 μg/ml 농도에서 LBW와 LBE는 85%, 86%가 나타났고, LBW-r와 LBE-r는 85%, 87%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였다. ABTS radical 소거능 측정 결과는 1,000 μg/ml 농도에서 LBW와 LBE는 99%, 92%의 소거능이 나타났고 LBW-r와 LBE-r는 99%, 100%의 소거능을 확인하였다. 세포 생존율을 확인하기 위해 MTT assay를 측정하였으며, LBW, LBE, LBW-r 및 LBE-r는 100 μg/ml 농도에서 95% 이상의 세포 생존율이 나타났으며, 이후 항염증 실험은 세포 생존율이 95% 이상인 농도 이하에서 진행하였다. 항염증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NO 생성 저해 활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100 μg/ml 농도에서 LBW와 LBE는 32.45%, 32.98%의 저해 효과를 보였고, LBW-r와 LBE-r는 58.23%, 63.43%의 저해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로 인해 레몬밤 방사선 조사 전 추출물보다 레몬밤 방사선 조사 후 추출물이 NO 생성 저해 활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위의 결과들을 토대로 레몬밤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을 확인하여 기능성 소재로서의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Melissa officinalis extract before and after irradiation was investigated to confirm its applicability as a natural material. First,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non-irradiated Melissa officinalis hot water (LBW) and 70% ethanol (LBE) extract confirmed the content of 497.06 ± 0.7 mg/100 g and 645.79 ± 0.8 mg/100 g. And irradiated Melissa officinalis hot water (LBW-r) and 70% ethanol (LBE-r) extract confirmed the content of 321.11 ± 0.3 mg/100 g, 386.02 ± 0.1 mg/100 g. In addition,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it was confirmed that at a concentration of 1,000 μg/ml, LBW and LBE were 85%, 86%, and LBW-r and LBE-r were 85%, 87%. The results of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that at a concentration of 1,000 μg/ml 99% and 92% in LBW and LBE, 99% and 100% in LBW-r and LBE-r. Before proceeding with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test, MTT assay was measured to check the cell viability. As a result, LBW, LBE, LBW-r and LBE-r showed a cell viability of 95% or more at a concentration of 100 μg/ml, and then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at a concentration of 95% or more. In order to measure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NO production inhibitory activity was confirmed. As a result, at a concentration of 100 μg/ml, LBW and LBE showed inhibitory effects of 32.45% and 32.98%, and LBW-r and LBE-r showed inhibitory effects of 58.23% and 63.43%.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Melissa officinalis extract was confirmed, and it is judged that it has potential as a functional material.
목차
Ⅰ. 서론
Ⅱ. 재료 및 방법
Ⅲ. 결과 및 고찰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