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Education Study of ‘착하다’ for Chinese Korean Learn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XIA WA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8호, 385~399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4.30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는 ‘착하다’의 다양한 의미와 용법을 재검토함으로써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교육에서 효과적인 ‘착하다’의 교육 방향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착하다’의 변별적 의미를 분석하기 위해 문헌 연구, 텍스트 분석, 설문 조사 등 다양한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문헌 연구를 통해 연구의 이론 근거를 제공하고 텍스트 분석과 설문 조사를 통해 실제 언어 상황에서 ‘착하다’의 확장 의미 사용 양상을 검토하였다.
결과 모어 화자의 말뭉치 자료 분석을 통하여 모어 화자의 ‘착하다’ 사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또한 학습자의 특성에 맞는 교육을 하기 위해 우선,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착하다’의 각 확장 의미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척도를 살펴보았다. 이어서 중국인 학습자의 말뭉치 자료 분석을 통해 중국인 학습자들의 ‘착하다’ 사용 양상을 파악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한국어교육 어휘 내용 개발 (4단계)>,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적용 연구>의 기준을 바탕으로 모어 화자의 사용 빈도, 중국인 학습자의 사용 양상, 중국어 대응어 “善良”과의 차이 등의 요인을 고려하여 의미를 등급화하였다. 또한 ‘착하다’를 교수할 때 적용할 수 있도록 단계별 교수 및 수용적 학습과 생산적 학습으로의 구분, 모국어 전이를 고려한 사용 제약의 명시, 말뭉치 자료의 활용, 유사 의미의 제시와 용례 비교 등 여러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examine the various semantics and usages of ‘착하다’ for suggest an effe studyctive educational direction of ‘착하다’ in Korean education for Chinese learners.
Methods In this, various research methods such as literature research text analysis and questionnaire survey were used to analyze the discriminatory meaning of ‘착하다’. By providing the theoretical basis for the study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he actual use pattern was reviewed through text analysis and questionnaire survey.
Results By analyzing the corpus data of native speakers, look at the use of native speakers of ‘착하다’. In addition, in order to carry out the education that accords with learners characteristics, first, a survey was conducted to examine learners attitude scale of extended meaning of ‘착하다’. Then, through the corpus analysis of Chinese learners, the use of ‘착하다’ were identified by Chinese learners.
Conclusions Based on the criteria of and , the frequency of use of native speakers, the use of Chinese learners, the difference from the Chinese counterpart ‘善良’. In addition, in the teaching of ‘착하다’, a variety of educational schemes are put forward, including the step-by-step teaching and the distinction between receptive learning and productive learning, explicit of restrictive usage considering L1 transfer, the use of corpus data, presenting similar meanings and comparison of usage etc.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자료 및 연구 방법
Ⅲ. ‘착하다’의 의미 및 사용 양상
Ⅳ. 중국인 학습자의 ‘착하다’의 사용 양상 및 교육적 제언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