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elf-Narrative Inquiry into Experience of change elementary school culture in order to operate a new curriculum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지현(Jee-Hyeon, Par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8호, 541~55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4.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교육과정 운영을 위하여 학교문화를 변화시키고자 노력한 학교 현장의 사례에 대하여 셀프 내러티브 연구를 함으로써 학교문화를 변화시키고자 할 때 겪는 갈등과 원인을 심도 있게 이해하고 교육적 경험을 통해 우리 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무엇인지 모색하고자 했다.
방법 본 연구는 A초등학교에 근무하게 되면서 경험한 학교문화 변화 과정에 대한 이야기에 초점을 맞추고, 교육적 경험을 보다 깊이 탐구하고자 하였다. A초등학교는 새로운 교육과정 운영을 위하여 학교문화를 변화시키려고 노력하였음에도 학교문화와 관련된 평가가 낮은 원인을 문서로 파악하기는 어려웠다. 따라서 학교문화 변화 과정에서 겪는 갈등과 그 원인을 총체적이고 구체적인 관점에서 분석하기 위해서 질적 연구방법이 필요하였다. A초등학교에 근무하면서 구성원들과 함께 인증 과정에 참여하게 됨으로써 구성원들과 대화하며 직접 경험한 것을 보다 자세하게 기술하고 분석하기 위해 셀프 내러티브 탐구 연구방법을 선택하였다.
결과 학교문화를 변화시키는 과정에서 많은 갈등과 어려움을 겪은 원인은 리더십팀의 구성과 운영에 있었다. 그리고 서로 소통하고 협력하기 위해서는 교육공동체 모두가 소중하다는 신뢰 관계가 바탕이 되어야 한다. 또한 인사 교류가 많은 공립학교를 위한 시스템 마련이 필요하였다.
결론 학교문화 변화를 위해서는 권한을 나누고 책임을 공유하는 리더십팀 구성과 실제적인 운영의 필요성, 교육공동체 모두가 소중하다는 신뢰 관계를 바탕으로 서로 소통하고 협력해야 한다는 점, 공립학교에서 이러한 학교문화가 지속되기 위해서는 시스템 마련이 필요한 점을 제시하였다. 더불어 연구자는 셀프 내러티브연구를 통해 자신의 삶을 성찰하고 의미를 재구성할 수 있었고, 교육적 경험을 더욱 총체적이고 구체적으로 탐구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is a self-narrative inquiry of school-based case that have endeavored to change school culture in order to operate a new curriculum. In this study, in-depth understanding of conflicts and Causes encountered when trying to improve school culture, tried to explore what can suggest to our education.
Methods The study focused on the story of the school culture change process I experienced while working in A-elementary School and wanted to delve deeper into my teaching experience. A-elementary School tried to change school culture to operate a new curriculum, but the evaluation of the school culture was low. and it wa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cause by documents. Therefor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required to analyze conflicts and causes of school culture from a comprehensive and specific perspective. While working in A-elementary School, I chose a self-narrative inquiry to explaine and analyze in more detail what I experienced firsthand by participating in the certification process and talking directly with the members.
Results The cause of many conflicts and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changing the school culture was the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the leadership team. And in order to communicate and collaborate with each other, the relationship of trust in the learning community must be the basis. Due to frequent teacher exchanges, it was necessary to prepare a system for public schools.
Conclusions In order to change the school culture, we must organize the leadership team in place that divides authority and shares responsibilities, we need for practical management. we must communicate and collaborate with each other based on trusting relationship that everyone in the educational community is important. and last, pointed out that is necessary to build a system in order for such a school culture to continue in public schools. Furthermore, a researcher could redefine values and meaning of life through reflection. With this self-narrative inquiry, a researcher could explore the experience more synthetically and concretely.
목차
Ⅰ. 문제 의식
Ⅱ. 연구 방법
Ⅲ. 이야기 하기
Ⅳ. 다시 이야기 하기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