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ransition from the Environment-centered Model to the Curriculum-centered Model: Reconceptualization of Inclusion-oriented Special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강은영(Kang, Eunyoung)
- 간행물 정보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65권 제2호, 167~19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4.30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는 그동안 교육 환경 중심 모형으로 특수교육 전달 체계를 개념화했던 것이 급변하는 미래 교육에서 직면하게 된 쟁점을 도출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잠재성을 지닌 교육과정 중심 모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종합적으로 해석하여 교육 환경에 대한 관점이 급변하고 있는 미래 교육에 맞춘 교육과정 중심 모형을 설계하였다. 연구결과: 교육과정 중심 모형으로 특수교육 전달에 대한 개념을 전환하는 것이 통합교육을 지향하는 특수교육으로 재개념화하는 것과 맥락을 같이할 수 있다는 것이 도출되었다. 또한 모든 특수교육 대상 학생을 위한 맞춤형 특수교육이 가능해질 수 있고, 교육과정적 통합으로 진일보할 수 있는 잠재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통합교육 지향 특수교육으로 재개념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적용 모형으로 교육과정 중심 모형이 실제 실현이 되기 위해 고려할 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In this study, the conceptualization of the special education delivery system as an educational environment-centered model was intended to derive the issues faced in the rapidly changing future of education and to propose a curriculum-centered model as a potential solution. Methods: By analyzing and comprehensively interpreting previous literature, a curriculum-oriented model was designed to fit the future of education in which perspectives o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re rapidly changing. Results: The transformation of the concept of special education delivery to a curriculum-centered model could coincide with the reconceptualization of inclusion-oriented special education. In addition, customized special education for all students who need special education could be made possible, and the potential for progress toward curriculum integration was discovered. Conclusion: The researcher discussed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curriculum-oriented model to reconceptualize inclusion-oriented special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특수교육에서 교육과정 기준 의사결정 과정 중요성
Ⅲ. 교육과정 설계 중심 모형에 대한 이해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