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 저자명
- 김영란
- 간행물 정보
- 『ISSUE PAPER』기본연구사업[2022], 1~9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여성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1.14
국문 초록
■ 코로나19로 인한 공적, 외부돌봄의 제약이 돌봄자로서 부모(가족)의 돌봄 부담과 자녀의 나홀로 시간 증가로 이어졌으며, 그간 돌봄 지원 정책의 확장에도 불구하고, 코로나19시기 자녀 돌봄의 부담은 또다시 여성에게 집중되고 있음을 확인함.
▶ 코로나19 시기 돌봄 사유로 인한 일자리를 조정하거나 일을 중단한 것은 주로 여성이었고 코로나 시기 돌봄 사유로 인해 중단한 일자리는 지속한 일자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용 안정성과 소득수준이 낮고, 근로유연성이나 자녀 돌봄 유연성이 낮은 일자리였으며,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서 이같은 일자리 조건과 특성은 일자리 조정 가능성을 높였음.
▶ 고용안정성이나 소득 등 일자리 특성에 의거하여 일자리를 조정하는 남성과 달리, 여성의 일 조정에는 이밖에도 자녀 연령이나 긴급돌봄지원자 유무, 근로유연성 등 돌봄과 관련된 요인들이 함께 작용하고 있음이 확인됨. 이는 코로나 시기 돌봄 취약성과 일 조정 경험이 성별과 일자리 특성에 따른 계층에 따라 불평등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임.
영문 초록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