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emonstration Model based on Action Learning Methods for Improving Teaching Competences of Pre-service Teacher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보림(Bo-Rim Kim) 전홍주(Hong-Ju Ju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7호, 195~21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4.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수업역량 향상을 위하여 액션러닝 방법 중심의 수업시연 모형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경기도 소재 Y전문대학교 유아교육과 학생 75명을 대상으로 예비 수업시연 모형, 1차 수업시연모형을 수정⋅보완하여 최종 수업시연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수업시연 모형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김연수(2017)가 개발한 유아교사용 수업역량 평가척도를 활용하여 Wilcoxon 부호순위 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 참여자가 가지는 수업시연 모형에 대한 의미를 분석하기 위하여 면담, 동영상, 수업시연 과정 산출물 등의 자료를 질적으로 분석하는 과정을 거쳤다.
결과 액션러닝을 중심으로 한 수업시연 모형은 ‘놀이 관찰하기 - 놀이 의미 읽기 - 다양한 놀이 지원 도출하기 - 우선순위 결정하기 - 수업계획안 작성하기 - 현직교사 참여 및 수업시연 발표하기 - 평가하기’의 7 단계로 구성된다. 모형 효과 분석 결과, 본 수업시연 모형 적용 시 예비유아교사의 수업역량 중 하위 요소인 내적 동기, 수업 개선 노력, 지식, 수업 목표, 수업 설계, 교수법, 학습 분위기 조성, 영유아 평가 요소는 수업시연 모형 적용 전과 후에 평균 점수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다음으로 본 수업시연 모형이 예비유아교사에게 주는 의미 분석 결과 본 수업시연 모형은 ‘수업에 대한 기초 지식 구성하기’, ‘현장성 있는 수업기술 익히기’, ‘예비유아교사로서의 방향성 탐색하기’의 세 가지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액션러닝 방법을 중심으로 한 본 수업시연 모형이 예비유아교사의 수업역량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었음을 의미하며 나아가 예비 유아교사의 수업 역량 향상을 위한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apply on a simulated instruction model based on action learning methods for the teaching competences of pre-service teacher.
Methods We developed a final class demonstration model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the preliminary demonstration model and the first demonstration model for 75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ents at Y College in Gyeonggi-do.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demonstration model, Wilcoxon signed-rank test was conducted using the class competency evaluation sca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developed by Kim Yeon-soo (2017). And to analyze the meaning that impact on pre-service teachers, we got materials of report of self-examination, examination report, study report, current teacher interview, study participants’ interview.
Results Action learning is constructed. The demonstration model centered on action learning is constructed of seven steps: Observing play - reading play meanings - deriving various play support - determining priorities - writing class plans - presenting incumbent teachers participation and class demonstrations - evaluating. As a result of model effect analysis, inner motivation, effort of improving class, knowledge, planning the class, classing, teaching method among capability of pre young children teacher were positive impact on atmosphere of study. There was better impact especially inner motivation, effort of improving class, Knowledge and capability. Nex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aning of this demonstration model to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it was found that the demonstration model has three meanings: “constructing basic knowledge about classes,” “learning practical teaching skills,” and “searching for directions as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
Conclusions This was able to conclude that it has positive impact to improve teaching competences of pre-service teacher through simulated instruction model based on action learning by the evidence of study result. This has meaning as method study to improve teaching competences of pre-service teacher.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