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omputational thinking scale for young childre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조준오(Jo, Junoh)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7호, 579~59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4.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컴퓨팅 사고력을 측정하는 신뢰롭고 타당한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첫째, 문헌고찰 및 델파이 조사를 바탕으로 컴퓨팅 사고력 척도에서 추상화 47문항, 자동화 19문항, 총 66문항을 개발하였다. 둘째, 문항 양호도 분석에서 유아 89명을 대상으로 척도의 문항 변별도와 문항 난이도를 살펴보았다. 셋째, 본검사에서 유아 281명을 대상으로 검사양호도를 분석하였다. 본검사에서 구인타당도, 공인타당도, 그리고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결과 예비조사의 문항양호도 분석에서, 유아 89명을 대상으로 문항반응분포와 문항변별도를 살펴본 후, 총 추상화 29문항, 자동화 19문항, 총 45문항이 추출되었다. 본조사의 검사양호도 분석에서, 유아 281명을 대상으로 타당도와 신뢰도를 살펴본 후, 추상화 28문항, 자동차 16문항, 총 44문항이 완성되었다.
결론 본 컴퓨팅 사고력 척도는 유아를 객관적으로 측정하고 평가함으로 소프트웨어 연구를 견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더불어 현재 실시되고 있는 컴퓨팅 사고력과 관련하여 유아 소프트웨어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증명함으로써, 유아의 컴퓨팅 사고력을 보다 깊이 이해하고, 소프트웨어 교육의 정책 방향을 결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reliable and valid scale to measure children s computational thinking ability.
Methods The procedure for this is as follows. First,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Delphi survey, 47 abstraction questions and 19 automation check questions were developed in the computational thinking ability scale, a total of 66 questions. Second, in the item quality analysis, item discrimination and item difficulty of the scale were examined for 89 children. Third, the test quality was analyzed for 281 children in the main test. In this test, construct validity, official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confirmed.
Results In the item quality analysis of the preliminary survey, after examining item response distribution and item discrimination for 89 young children, a total of 29 items of abstraction, 19 items of automation, and a total of 45 items were extracted. In the test quality analysis of this study, after examining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281 young children, a total of 44 questions were completed, including 28 abstraction questions and 16 automobile questions.
Conclusions Through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is computational thinking ability scale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leading software research by objectively measuring and evaluating children. In addition, by proving the effectiveness of the early childhood software education program in relation to the current computing thinking ability, it is expected to be helpful in understanding children s computing thinking ability more deeply and determining the policy direction of software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유아 컴퓨팅 사고력 척도 개발과정
Ⅲ. 유아 컴퓨팅 사고력 척도 개발
Ⅳ. 유아 컴퓨팅 사고력 척도 타당화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