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MBTI Personality Type, Learning Strategy, and Social Support on Academic Stress in Nursing Students under Untact Educational Environment Caused by COVID-19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조미래(Jo, Mirae) 이현진(Lee, Hyunjin) 신유진(Shin, Yujin) 김수현(Kim Soo-hyun) 김서영(Kim Seo-young) 조금주(Jo, Geum-joo) 장수현(Jang Soo-hyu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7호, 753~764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4.15

국문 초록
목적 COVID-19 상황에서 간호대학생의 MBTI 성격유형, 학습전략, 사회적지지가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실시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방법 대상자는 D광역시 소재 1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1~4학년 간호대학생 125명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1년 10월 5일부터 11월 18일까지이며, 구글 설문지를 활용한 온라인 설문 방식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서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Hierarchical regression이 실시되었다.
결과 COVID-19 상황에서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는 학습전략과, 사회적지지와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학습전략은 사회적지지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회귀분석 결과, 성별, 전공만족도, 학습전략, 사회적지지가 학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으며, 이 변수들은 학업스트레스를 31.6% 설명하였다.
결론 COVID-19 상황에서 학업스트레스 감소를 위해서는 전공만족도, 학습전략, 사회적지지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다양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design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MBTI personality type, learning strategy, and social support on academic stress in nursing students under untact educational environment caused by COVID-19.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25 nursing students who were 1-4 graders attending one university located in D metropolitan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Oct. 5, 2021 to Nov. 18, 2021. For data analysis, SPSS 23.0 program was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Results In non-face-to-face class environment caused by COVID-19, nursing students’ academic stress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learning strategy and social support and their learning strategy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 support.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gender, major satisfaction, learning strategy, and social support affected academic stress and these variables accounted for 31.6% of academic stress.
Conclusions To reduce academic stress in the COVID-19 situation, there is a need to develop programs for improving major satisfaction, learning strategy, and social support and seek various solution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