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Home Literacy Environment on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Skills in Preschool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김신영(Shinyoung Kim) 채미선(Miseon Chae) 임동선(Dongsun Yim)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7. no.1, 14~26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3.30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가정에서의 부모와 자녀 간 다양한 책읽기 환경 중 아동들의 수용 및 표현 어휘력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요인이 무엇인지 검토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에는 4-6세의 학령전기 아동 45명과 그 부모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가정에서의 책읽기 환경은 부모 대상 설문지(Greenberg & Weitzman, 2014)를 사용하여 조사하였으며, 아동들의 어휘력은 수용 및 표현 어휘력 검사(Kim et al., 2009)를 통해 측정하였다. 결과: 상관분석 결과, 연구대상 아동들의 수용 어휘력은 책읽기 시 부모의 질문 사용 여부 및 아동의 책읽기 참여도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표현 어휘력은 가정에서의 책읽기 빈도 및 반복적 책읽기의 정도, 그리고 아동의 책읽기 참여도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회귀분석 결과, 연구대상 아동들의 수용 어휘력을 설명하는 책읽기 환경 요인은 아동의 책읽기 참여 적극성과 관련된 요인이었으며, 표현 어휘력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책읽기 환경 요인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부모-자녀 간 책읽기에서 아동의 적극적인 참여가 아동들의 수용 어휘력을 예측하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나, 책읽기 시 아동의 참여를 격려하는 부모 역할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which factors in the home literacy environment significantly predicted children’s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skills. Methods: A total of 45 dyads of children and par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 questionnaire was used to investigate the home literacy environment (Greenberg & Weitzman, 2014), and standardized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ests (Kim et al., 2009) were administered to assess the children’s vocabulary skills. The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was calculated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vocabulary skills and home literacy sub-items, 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predicting factors for the children’s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skills.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receptive vocabulary scor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parents’ use of questions and child’s reading attitude during book reading; whereas expressive vocabulary scor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frequent and repetitive book reading, and children’s attentive reading attitude during book reading. Children’s positive and active participation was a significant factor explaining receptive vocabulary scores. There were no factors that significantly explained children’s expressive vocabulary scores. Conclusion: This study’s results suggest that children’s active participation in book reading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predicting children’s receptive vocabulary skills, and confirmed that it is vital for parents to positively encourage children to participate actively while reading a book.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