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the Strategy of Three Types Questions in Interactive Book Reading on Language Delayed and Typically Developed Children’s Learning of Vocabulary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채미선(Miseon Chae) 임동선(Dongsun Yim)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7. no.1, 27~4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3.30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대화식 책읽기는 아동의 능동적인 참여와 언어발달을 촉진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성인과 아동의 책읽기 활동에서 사용할 수 있는 세 가지 질문하기 전략(직접적 질문하기, 간접적 질문하기, 탈문맥적 질문하기)에 따른 집단 간(언어발달지연 아동, 일반 아동) 아동의 수용 · 표현어휘 및 정의하기 학습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방법: 만 4-5세의 언어발달지연 아동 12명과 일반 아동 10명을 대상으로 대화식 책읽기 활동을 통해 15가지 비단어를 중재하였다. 모든 아동은 총 8회기 중재활동에 참여하였으며, 연구자는 세 가지 질문 전략에 따른 아동의 수용언어, 표현언어, 정의하기 과제의 수행력을 평가하였다. 결과: 수용 · 표현어휘 학습 및 정의하기 과제에서 언어발달지연 아동은 일반 아동보다 유의하게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 표현어휘 과제에서 직접적 질문하기 전략을 사용할 때 집단 간 수행력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의하기 과제에서 탈문맥적 질문전략을 사용할 때 집단 간 차이가 간접적 질문을 사용할 때보다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언어발달지연 아동은 수용 · 표현어휘 및 정의하기 학습에 어려움이 있으며, 다른 양상으로 습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표현어휘 학습 시 직접적 질문하기가 유리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임상에서 아동의 언어 및 상호작용을 돕기 위한 치료 활동에 근거가 되며, 주양육자 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임상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examine the children’s performance between Language Delayed (LD) and Typically Developed (TD) children in vocabulary learning tests (expressive, receptive, definition) across three-reading strategies (eliciting question, non-eliciting question, decontextualized question) in adult-child book reading assessment. Methods: A total of 22 children (12 children with LD and 10 TD children) aged 4 to 5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performed vocabulary learning tests (expressive, receptive, definition) across 3 reading strategies after 8 reading sessions. Results: LD children received significantly lower scores than TD children on expressive · receptive vocabulary learning and definition tasks. Moreover, in the case of expressive vocabulary, there was no significant group difference in eliciting questions. In addition, in the definition task, the group difference according to strategies was greater when using the decontextualized questions, than when using the non-eliciting questions. Conclusion: It turned out that children with LD have difficulties in receptive · expressive vocabulary learning and definition. Also, it was remarkable that the pattern of relationship between these performances was different in each group. In particular, TD children scored the highest in expressive vocabulary learning under the decontextualized question strategy, whereas in the case of children with LD, they scored the highest under the eliciting question strategy. It suggests that the necessity for mediation of non-experts, such as parents or caregivers, plays an important role in word learning and intervening for children with LD through educating and using an effective reading strategy.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