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hildren’s Voice Handicap Index-10 (CVHI-10) in School Age Children: ROC Curve and Cutoff Analysis for Diagnostic Test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라상학(Sang Hak Ra) 최성희(Seong Hee Choi) 이경재(Kyungjae Lee) 최철희(Chul-Hee Choi)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7. no.1, 202~211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3.30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음성장애는 아동기에 흔하게 발생하는 병리학적 질환으로 아동의 음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다차원인 음성평가가 시행되고 있다. 최근에는 아동의 자가 보고식 음성장애 평가 도구가 개발되어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판 아동음성장애지수(CVHI-10) 번안본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하고자 한다. 방법: 7-12세의 음성장애를 가진 학령기 아동 100명과 음성장애가 없는 학령기 아동 100명, 아동의 부모 200명 총 400명이 CVH-10에 응답하였다. 내적 일관성은 크론바흐의 α 계수를 통해 계산되었으며, 한국판 CVHI-10의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참여 아동의 /ㅏ/모음 연장 발성을 통해 음향학적 및 청지적 평가를 실시하여, CVHI-10과 상관성을 살펴보았다. 결과: 한국판 CVHI-10은 높은 내적 일관성(아동 α=.911, 부모 α=.876)과 검사-재검사 신뢰도(아동 α=.759, 부모 α=.762)를 나타내었다. 또한, K-CVHI-10과 pVHI-K 점수 간에 강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아동 r=.759, 부모 r=.752). K-CVHI-10은 음향학적 측정치인 주파수변동률, 진폭변동률과 청지각적 평정인 GRBAS척도 중 ‘G’점수와 낮은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아동 보고에 의한 K-CVHI-10에서 절단점은 3.50점을 기준으로 양성예측도 75%, 음성예측도 69%로 확인되었으며, 곡선아래 영역은 .68로 나타났다. 부모 보고에 의한 CVHI-10은 절단점 3.50점을 기준으로 양성예측도 90.6%, 음성예측도 86.2%로 나타났으며 곡선 아래 면적이 .95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아동과 부모 보고에 의한 한국어판 CVHI-10은 아동의 음성장애를 감별하고 적절한 중재를 제공하기 위해 객관적인 음성 검사와 함께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Dysphonia is a common pathologic condition in childhood. Multidimensional voice assessments are recommended in voice assessments for children. Recently, a childbased self voice assessment has been developed. This study assess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VHI-10 as a reliable self-administered voice assessment. Methods: A total of 100 school age children with voice disorders, aged 7-12 years and 100 age and gender-matched children with no voice disorders and their 200 par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ternal consistency was calculated through Cronbach’s α coefficient and the test-retest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VHI-10 was estimated. Results: The Korean version of the CVHI-10 revealed a high internal consistency ; α= .911 for children, α= .876 for parents as well as good test-retest reliability r= .759 for children, r= .762 for their parents. There was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the Korean version of the CVHI-10 and the K-pVHI in both children and their parents’ responses (r= .759, r= .752), respectively. The Korean version of the CVHI-10 showed a low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acoustical measurements of %jitter and %shimmer, and the ‘G’ score of GRBAS scale. Furthermore, in the K- CVHI-10 results obtained from children, the cut-off score was found to be 75% positive predictive value and 69% negative predictive value, based on 3.50 points, and the area under the curve was shown to be .683. Similarly, in their parents, the cut-off score was found to be 90.6% positive predictive value and 86.2% negative predictive value, based on 3.50 points, and the area under the curve was shown to be .95. Conclusion: The Korean version of the CVHI-10 can be a useful voice assessment tool as a diagnostic test as well as a screening tool for children and their parents to identify voice problems and provide appropriate intervention with objective voice assessment.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