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Daho Shown In Tea Culture of Jeong Yak-Yong and Kim Jeong-Hee
- 발행기관
- 국제차문화학회
- 저자명
- 최혜경(Choi, Hye-gyeong)
- 간행물 정보
- 『차문화산업학』제55집, 185~21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3.30
국문 초록
호의 유형변화 가운데 하나로서 차를 주제로 작호한 다호(茶號)의 대표적 사례로는 다산(茶山) 정약용과 승설(勝雪) 김정희를 들 수 있다. 다산과 승설이라는 호는 차를 소재로 한 장소와 인물을 대상으로 작호한 것으로서 정약용과 김정희가 즐겼던 차에 대한 가치들이 다호에서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지 살펴볼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다산과 승설의 다호를 통하여 그 안에 내포되어 있는 그들의 차문화와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차를 소재로 호를 지어 삶의 가치로 삼고 이를 추구하고자 한 궤적을 더듬어봄으로써 다호에 대한 의미를 조명해보는 데 의의를 둘 것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다호에 관한 연구는 매우 미진하게 진행된바, 작호의 한 유형으로 다호를 소개하고 이를 토대로 차문화 연구의 일진을 삼고자 한다.
영문 초록
As a type changes in Daho(tea nicknames), representative naming cases with tea as a theme were Dasan Jeong Yak-Yong ad Seungseol Kim, Jeong-Hee. As nicknames of Dasan and Seungsol were targeted at places and persons with tea as a material, it was understood through the names how values of tea Jeong Yak-Yong and Kim Jeong-Hee enjoyed were expressed in Daho.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tea culture included in the Daho(tea nicknames) of Dasan and Seungseol and looked at the meaning of Daho by looking at the trace that they pursued for life based on tea with nicknames relating to tea. However, as previous studies on Daho were insignificant, Daho as a type of naming nicknames, and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presented to further intensive research on Daho.
목차
Ⅰ. 서론
Ⅱ. 작호(作號)의 유형과 방식
Ⅲ. 다산(茶山) 정약용의 차생활과 다호(茶號)
Ⅳ. 승설(勝雪) 김정희의 차문화와 다호(茶號)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