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가성황반원공, 황반원공의 아형에 따른 혈관밀도의 술 후 변화

이용수 0

영문명
Postoperative Changes in Vessel Density according to Macular Hole and Macular Pseudohole Subtypes
발행기관
대한안과학회
저자명
강지혜(Ji Hae Kang) 염명인(Myeong In Yeom) 박정민(Jung Min Park)
간행물 정보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63,number3, 276~285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3.15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가성황반원공, 황반원공의 아형에 따라 술 후 혈관밀도의 변화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발생기전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혈관밀도의 변화가 다국소망막전위도와 최대교정시력의 변화와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유리체절제술을 시행 받은 전체층황반원공 15명 15안, 견인성 표층황반원공 9명 9안, 퇴행성 표층황반원공 8명 8안, 가성황반원공 8명 9안이 포함되었다. 술 전과 술 후 1개월, 6개월의 최대교정시력, 중심오목무혈관부위, 중심오목혈관밀도, 중심오목부근혈관밀도, 다국소망막전위도검사상 ring 1, ring 2 P1 진폭을 분석하였다. 결과: 술 후 1개월에 중심오목혈관밀도는 가성황반원공과 견인성 표층황반원공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11, p=0.008), 중심오목부근혈관밀도는 가성황반원공, 견인성 표층황반원공 그리고 전체층황반원공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7, p=0.038, p=0.031). 하지만 퇴행성 표층황반원공의 중심오목혈관밀도와 중심오목부근혈관밀도의 증가는 유의하지 않았다(p=0.201, p=0.171). 전체층황반원공의 술 후 중심오목부근혈관밀도와 최대교정시력의 변화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r=-0.543, p=0.037). 결론: 유리체절제술 후 혈관밀도의 변화를 통해 황반원공의 종류에 따른 견인력의 영향을 추정해 볼 수 있었다. 전체층황반원공에서중심오목부근혈관밀도와 최대교정시력의 변화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를 통해 망막 구조의 회복과 더불어 미세혈관의 회복이 시력 호전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추정해 볼 수 있었다.

영문 초록

Purpose: To determine the postoperative changes in vessel density according to macular hole and macular pseudohole (MPH) subtypes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the mechanisms underlying their development. We also investigated whether changes in vessel density are correlated with changes in the multifocal electroretinogram (mfERG) and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BCVA). Methods: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ith MPH or a macular hole who underwent pars plana vitrectomy. We included 15 eyes of 15 patients with a full thickness macular hole (FTMH), nine eyes of nine patients with a tractional lamellar macular hole (LMH), eight eyes of eight patients with a degenerative LMH, and nine eyes of eight patients with a MPH. The BCVA, foveal avascular zone (FAZ), foveal and parafoveal vessel density, and mfERG ring 1 and ring 2 P1 amplitudes were analyzed before and 1 and 6 months after surgery. Results: One month postoperatively, the foveal vessel density of patients with a MPH or tractional LMH increased (p = 0.011, p = 0.008). The parafoveal vessel density of patients with a MPH, tractional LMH, and FTMH increased (p = 0.007, p = 0.038, p = 0.031). There was no significant increase in foveal or parafoveal vessel density in patients with a degenerative LMH (p = 0.201, p = 0.171).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change in parafoveal vessel density and that in BCVA 6 months postoperatively in patients with a FTMH (r = -0.543, p = 0.037). Conclusions: By assessing changes in vessel density after vitrectomy,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e effect of trac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macular hole.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arafoveal vessel density and BCVA in patients with a FTMH. Restoration of the retinal structure and vessel density might improve visual acuity.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지혜(Ji Hae Kang),염명인(Myeong In Yeom),박정민(Jung Min Park). (2022).가성황반원공, 황반원공의 아형에 따른 혈관밀도의 술 후 변화. 대한안과학회지, 63 (3), 276-285

MLA

강지혜(Ji Hae Kang),염명인(Myeong In Yeom),박정민(Jung Min Park). "가성황반원공, 황반원공의 아형에 따른 혈관밀도의 술 후 변화." 대한안과학회지, 63.3(2022): 276-285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