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Dialogic Patterns among Deaf Students and Teacher’s Role to Encourage Dialogic Interaction in Educational Drama
- 발행기관
- 공주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 저자명
- 황윤재(Hwang, Yunjae)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논집』특수교육논집 제26권 제2호, 135~15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2.28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농학교 교육연극 여름캠프에서 나타난 또래 농학생 간 대화양상을 분석하고 또래 간 대화를 촉진시키기 위한 교사의 역할을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 방법으로 진행되었으며, 정보 수집과 분석은 캠프가 진행되는 동안 녹화된 동영상, 참여학생들의 개인정보, 현장 관찰일지를 통해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교육연극 환경에서 나타난 또래 간 대화양상은 여섯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는데, 우회하기, 규제하기, 주장하기, 공유하기, 교감하기, 그리고 정보제공하기였다. 둘째, 교육연극 활동 시 또래간 대화를 촉진하기 위한 교사의 역할은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는데, 주도하기, 코칭하기, 그리고 중재하기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농학생들간의 대화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교육연극이라는 효과적인 전략을 사용하는 것도 필요하지만 교사가 대화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적극적인 전략을 제공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특히 교사의 효과적인 대화전략은 농학생간 대화적 상호작용의 양과 질을 높일 수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 natural dialogic pattern among deaf students and teacher’s role to facilitate peer dialogic interaction in drama summer camp at a deaf school. Method: This study is a qualitative case study to investigate promoting dialogic skills through dramatic strategies. Data came from deaf elementary student drama summer camp in 2012. Data was analyzed through recorded video clips, document review, and field observation. Resul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hown that there were six patterns of peer dialogue; circumventing, regulation, disputation, exploration, confirmation, and information. Also, there were three types of teacher’s role to facilitate peer dialogue; Leading a discussion, Coaching, and Mediation. This study was found that not all dramatic strategies encouraged peer dialogic interactions. It should be emphasized that in order to promote peer dialogue, what is more important than the use of a dramatic strategy itself is how the dramatic strategy is applied to instruction by the teacher. Thus, it is essential for the teacher to be aware of the importance of peer dialogue for learning and of the teacher’s roles in facilitating peer dialogue when utilizing a dramatic strategy. Especially, the teacher’s effective mediation can enhance the quality of children’s dialogic interaction. The incorporation of a type of group or pair work that children can interact and discuss with one another can contribute to increase the quantity of peer dialogic interac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