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Embedded Tact Instruction during Play on Young Children with Language Delays
- 발행기관
- 공주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 저자명
- 김혜영(Kim, Hye-Young) 정선화(Jung, Sunhwa)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논집』특수교육논집 제26권 제2호, 217~233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2.28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는 놀이 상황에 삽입된 택트 개별시도 교수가 언어발달지제 유아의 독립적인 택트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두 명의 언어발달 지체 유아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유아들의 독립적인 택트 향상을 위해 놀이에 삽입된 택트 개별시도 교수를 실시하였고, 중재의 효과는 행동간 중다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들은 중재를 시작하자 빠른 속도로 택트를 습득하였고, 중재가 종료된 이후에도 그 효과가 유지되었다. 또한 교수되지 않은 환경에서 일반화 효과도 관찰되었다. 결론: 이 연구는 자연적인 놀이 상황에 삽입된 택트교수가 언어발달지제 유아의 택트 향상에 효과적이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embedded tact discrete trial teaching into play on independent tact. Method: Two young children aged 5~6 years old with language delay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embedded tact instruction into play was implemented, and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 were evaluated using a multiple baseline across behaviors design.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hildren acquired tacts quickly as the instruction was provided, and the effects were maintained after removing the intervention. In addition, the children’s tacts were generalized in the noninstructional setting.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embedded tact instruction during play was effective for young children with language delay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