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Performance History of Modern Historical Dramas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김병길(Kim, Byoung-gill)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리터러시 연구 12권 6호, 507~536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0
국문 초록
본고는 ‘한국 근대 역사극 공연사’ 기술을 위한 예비 작업에 해당한다. 정확한 공연관련 정보를 정리 및 재구에 연구의 일차적인 목적이 있다. 식민시기 역사극 공연은 사극, 시대극, 역사극 등의 타이틀로 광고됐다. 대개는 일반적인 극 형식이었으나, 창극이나 가극과 같은 악극 형식의 공연 역시 적지 않았다. 특히 신문에 연재 중이거나 연재되었던 원작소설의 대중적 인기에 편승한 각색 공연이 잦았다. 잡지를 통해 발표된 희곡 작품을 공연하거나 공연이 무산되어 지면을 통해 발표된 역사극 텍스트도 있다. 1940년을 분기점으로 역사극 공연의 성격은 차이를 보인다. 1931년 그 시발에서부터 1939년까지 전반기 역사극 공연은 통속성이 점차 강화되는 양상으로 전개되었다. 신파성 강한 대중극으로서 최루성 연극이 주를 이룬 것이다. 후반기에 접어들어서는 일제의 암묵적인 후원과 지지에 힘입어 흥행 면에서 전성기를 구가한다. 조선의과거를 제국의 시선에서 전유한 역사극 공연이 대동아 담론의 전파 도구로 주목받은결과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equivalent to preliminary work describing the performance history of modern Korean historical dramas. To this end, the study sought to summarize accurate performance-related information. Historical drama performances during the colonial period were advertised under the titles of historical or period dramas. Usually, the performances were in a typical play format, but there were also many performances that included singing, opera, or musical instruments. Specifically, there were many adaptations that capitalized on the popularity of original novels that were serialized in newspapers. In some cases, plays published in magazines were performed, and conversely, historical dramas that failed as performances were published in magazines. Contrary to what was announced, there were many cases where performances were not held due to censorship or internal circumstances of the troupe. The year 1940 was the turning point at which the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drama performances changed. Since its inception, between 1931 to 1939, the popularity of historical drama performances gradually increased in the first half. The historical drama started as a popular play that evoked strong emotions. In the second half of the year, thanks to the tacit support of the Japanese Empire, historical drama performances enjoyed the heyday of their success. This was the result of historical drama performances receiving attention as a tool to legitimize the Great East Asian War.
목차
1. 서론
2. 공연 이력과 텍스트 계보
3. 주요 공연의 주체와 성격
4. 결론을 대신하여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