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Art Therapy for Children with Media Overdependenc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수빈(Kim, Subeen) 이정인(Lee, Jeongin) 정해미(Jung, Haemi) 최지우(Choi, Jiwoo) 편지희(Pyeon, Jihui) 박윤미(Park, Yunmi)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6호, 351~36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3.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미디어 과의존 유아동을 대상으로 미술치료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05년부터 2020년까지의 석⋅박사 학위논문 23편과 KCI등재 후보 이상 학술지 16편, 총 39편을 발행연도별 연구유형, 연구대상, 연구내용, 연구 방법을 기준으로 분석하였고, 빈도와 백분율로 통계 처리하였다.
결과 첫째, 발행연도별 연구유형의 분석 결과, 2008년도에 논문 발행 비중이 가장 높았다. 둘째, 연구대상은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100%이며, 남⋅여 혼합 58.97%, 남아 23.08%로 여아만 단독으로 진행한 연구는 전무하였다. 셋째, 연구내용은 단일주제로 접근한 경우가 74.36%였으며 단일주제, 복합주제 모두 자아 성장을 가장 많이 다루었다. 또한 연구영역은 인터넷 중독, 스마트폰 중독, 인터넷 게임중독의 순으로 단일증상을 연구한 논문이 58.97%로 많았다. 측정 도구는 투사검사와 객관적 검사를 혼합 적용한 경우가 대부분이었고 치료기법은 혼합기법을 주로 사용했다. 넷째, 연구 방법은 양적 연구, 혼합, 질적 연구 순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실험통제집단, 11~15회기, 주 1회, 90분 이상의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결론 본 연구는 COVID-19 시대를 맞이하여 미디어 노출 빈도 및 의존도가 높아진 상황에서 미디어 의존에 대한 유아동 대상 미술치료 연구의 종합적 흐름을 고찰하고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rends in art therapy research for infants and children who overdependence on media.
Methods For this, A total of 39 papers from 2005 to 2020, including 23 master’s and doctorate papers, and 16 academic papers above KCI candidates, were analyzed based on the research types, research subjects, research contents, and research methods by publication year, and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Results Firs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research types by publication year, the proportion of thesis publications in 2008 was highest. Secon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00% of children, and 58.97% of male and female mixture and 23.08% of male children, and no studies were conducted alone by female children. Third, 74.36% of the research contents were approached a single topic, and both single and complex topics dealt with ego growth the most. In the survey field, 58.97% of papers studied single symptoms in the order of Internet addiction, smartphone addiction, and Internet game addiction. Most of the measurement tools were mixed with projection and objective test, and the treatment technique mainly used mixing techniques. Fourth, research methods were in the order of quantitative, mixed research, and qualitative research, and most of the programs consisted of experimental control groups, once a week, 11~15 sessions, and more than 90 minutes.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nsidered the comprehensive flow of art therapy research about overdependence on media for infants and presented directions in a situation where media exposure frequency and dependence increase in the COVID-19 era.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