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Difficulty Levels in CSAT English Reading Passages based on Criterion-Referenced Assessment: Focusing on Lexical Complexity and Syntactic Complexit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엄혜랑(Om Hye Ra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6호, 397~41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3.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2018학년도 대학 수학능력 시험 영어영역에 절대 평가제가 도입된 이후 수능 영어 독해지문이 어휘 복잡성(lexical complexity)과 통사적 복잡성(syntactic complexity) 측면에서 일정한 난이도를 유지하고 있는지 분석해 보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해 2018~2021 수능 영어 독해지문을 대상으로 코퍼스를 구축하였으며 LCA(Lexical Complexity Analyzer)와 L2SCA(L2 Syntactic Complexity Analyzer)를 사용하여 25개의 어휘 복잡성(어휘 밀도, 어휘 수준 정도, 어휘 변화도) 측정치와 14개의 통사적 복잡성(생성 단위 길이, 문장 복잡성, 종속성, 등위성, 특정구조) 측정치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연도별 시험의 난이도 비교를 위해서 일원 배치 분산분석 (One-way ANOVA)을 수행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에 따르면 2018~2021 수능 영어 독해지문은 모든 측정치에서 유의미한 난이도 차이를 보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상의 연구 결과는 절대 평가제 도입 이후 4년 동안 수능 영어 독해지문이 어휘 복잡성 및 통사적 복잡성의 측면에서 난이도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이 연구는 수능 절대평가제와 관련하여 교육적 함의와 시사섬을 제공하고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CSAT(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English reading passages are consistent in the level of difficulty on the basis of the criterion-referenced assessment introduced in the 2018 academic year.
Methods To achieve this goal, English reading passages from the 2018-2021 academic year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with 25 measures for lexical complexity(lexical density, lexical sophistication, and lexical variation) and 14 measures for syntactic complexity(length of production, sentence complexity, subordination, coordination, and particular structures). In order to see if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four tests, one-way ANOVA was performed.
Results The results show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lexical complexity and syntactic complexity among the CSAT English reading passages during the academic years 2018-2021.
Conclusions This suggests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yearly variance in the CSAT English sections under the criterion-referenced assessment. Additionally,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s some pedagogic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criterion-referenced assessment.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