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ase Study on Application of Flipped Learning based Major Clas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cused on the Clas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Media Languag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정성헌(Jeong, Seong-heo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6호, 685~70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3.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교육 전공과목인 <한국어교육과매체언어> 수업에 플립러닝을 적용하여 수업 운영 사례를 소개하고 그 의의를 살펴보는 데 있다.
방법 이에 본고에서는 플립러닝 방식으로 운영된 <한국어교육과매체언어> 수업의 수업 구성을 제안하고, 학습 결과물과 학습자의 성찰 일지, 수업 만족도 등을 분석함으로써 한국어 교육 전공 교과에 플립러닝을 적용하여 얻게 되는 효과와 한계점을 살펴보았다.
결과 분석 결과, 수강생들은 심화된 학습 활동을 할 수 있었고, 실무 역량을 제고하기 위한 실습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또한 교수와 학생 간 활발한 상호작용이 가능했으며, 학습자의 자기주도력을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늘어난 학습량, 과제 및 협업 활동에 대한 학습자의 부담 등 보완할 부분도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 전공 교과에 플립러닝을 적용하여 그 수업 내용을 제안하고 수업의 효과와 한계를 다각도로 확인한 연구로서 의의가 있다. 향후 학습량 및 협업 활동의 부담 등 플립러닝 수업의 개선 과제를 극복하고 플립러닝의 효과를 제고하는 후속 연구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application of flipped learning in class, which are major subjec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o examine their significance.
Method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and limitations of flipped learning-based classes by proposing the class composition of the class operated in a flipped learning method and analyzing learning outcomes, learners reflective journal, and class satisfaction.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tudents were able to engage in advanced learning activities and have practical opportunities to improve their practical skill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active interaction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was possible, and that learners self-direction could be enhanced. However, some parts to be supplemented, such as the increased amount of learning, the burden of learners on tasks and collaborative activities, were also confirmed.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as a study that proposes the composition of the class by applying flipped learning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major subjects and confirms the effectiveness and limitations of the class. This study expects follow-up studies to overcome the improvement tasks of flipped learning classes, such as the amount of learning and the burden of collaborative activities, and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flipped learning.
목차
Ⅰ. 서론
Ⅱ. <한국어교육과매체언어> 수업과 플립러닝
Ⅲ. 플립러닝 기반 <한국어교육과매체언어> 수업 설계
Ⅳ. <한국어교육과매체언어> 교과의 플립러닝 적용 결과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