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zing the Effects of Family Background on the Lifelong Competenc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한희진(Hee-Jin Ha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6호, 821~832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3.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가정배경과 관련한 변수를 중심으로 초등학생의 생애학습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분석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문제를 탐색하기 위하여 ‘2018년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 및 국제비교 연구 Ⅴ’의 자료를 활용하여, 분산분석, 회귀분석 등의 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 초등학생의 생애학습역량에 학생의 성별, 학업성적, 부모의 최종학력, 가정소득 그리고 학교위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끼쳤다. 생애학습역량의 하위역량인 사고력, 지적도구활용능력, 학습적응성 그리고 자기주도성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사고력은 학생의 성별, 학생의 학년, 학업성적 그리고 가정소득이, 지적도구활용능력에는 학생의 학년, 학업성적, 가정소득 그리고 학교위치가 영향을 미쳤다. 학습적응성에 학생 성별, 학업성적, 부모의 최종학력, 가정소득, 학교위치가 그리고 자기주도성에는 학생의 성별, 학생의 학년, 학업성취, 가정구성, 가정소득 그리고 학교위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결론 초등학생의 생애학습역량과 생애학습역량 하위역량에 미치는 변수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정책적인 제언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primarily aims to analyze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lifelong competenc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cusing on the variables associated with family background
Methods To explore the research question, variance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other analyses were conducted on data from ‘2018 Youth Competency Index Measurement and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V’
Results With respect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lifelong competencies, student gender, academic grades, parental education, household income, and school location were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m. The analysis of the sub-competencies of the lifelong competencies—critical thinking, the ability to utilize intellectual tools, learning agility, and self-directed learning—were found to be influenced by student gender, school year, academic grades, and household income, and the ability to utilize intellectual tools was influenced by student school year, academic grades, household income, and school location. In addition, student gender, academic grades, parent education, household income, and school loca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learning agility, and student gender, school year, academic achievement, family composition, household income, and school loca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self-directed learning.
Conclusion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lifelong competenc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sub-competencies of these lifelong competencies, relevant policies and follow-up studies have been propo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