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s of Employee Engagement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Feedback Seeking Behavior Motiv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etermination and Innovative Behavior
- 발행기관
-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 저자명
- 김현종(Kim, Hyun-Jong) 송해덕(Song, Hae-Deok)
- 간행물 정보
- 『교육과학습: Global Creative Leader』제12권 1호, 105~133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3.30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자기결정성이 직원몰입과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 이들 간의 관계에서 피드백추구행동 동기가 어떠한 조절효과를 보이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IT연구개발 직원을 대상으로 한 총 382명의 설문결과를 연구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자기결정성이 혁신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결정성이 직원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원몰입이 자기결정성과 혁신행동간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피드백추구행동 동기는 자기결정성과 직원몰입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피드백추구행동 동기는 자기결정성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는 자기결정성의 충족이 개인의 혁신활동을 위한 기본 요건이 되며, 자기결정성이 혁신행동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조직구성원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참여를 의미하는 몰입이 함께 요구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자기결정성의 효과는 직원의 피드백추구행동 동기 수준에 따라 달라진다는 점을 고려할 때, 조직구성원의 심리적 조건을 고려한 자기결정성 지원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elf-determination on employee engagement and innovative behavior and empirically verified the moderating effects of feedback-seeking behavior motiv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hat targeted the employees at the departments of IT research & development. A total of 382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elf-determin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novative behavior. Second, self-determin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mployee engagement. Third, employee engagement showe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etermination and innovative behavior. Fourth, the feedback-seeking behavior motive showed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etermination and employee engagement. Fifth, the feedback-seeking behavior motive showed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etermination and innovative behavior. The findings implied that the fulfillment of self-determination is essential for individuals’innovative behavior, and employee engagement is necessary as a mediating variable between self-determination and innovative behavior. In addition, given that the effect of self-determination depends on the level of employees’the feedback seeking behavior motive, self-determination support should consider employees’psychological condition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