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ase Study Research on the Issue Factors Appearing in the LiFE Project Participation Process of A Junior College
- 발행기관
-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 저자명
- 김은경(Gim, Eunkyeong) 전예니(Jeon, Yeni) 이지영(Lee, Jiyoung) 조대연(Cho, Daeyeon)
- 간행물 정보
- 『교육과학습: Global Creative Leader』제12권 1호, 135~161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3.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육부 대학의 평생교육 체제지원사업인 LiFE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전문대학에서 발생하는 주요 쟁점은 무엇인지 분석하고, 쟁점요인별 특징적인 현상을 파악하는 것에 목적이있다. 이를 위하여 사례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에 참여한 A전문대학의 성인 학습자, 학교 관계자, 교수자를 대상으로 2021년 11월말부터 12월초까지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행하였다. 그 결과 첫째, 성인학습자 차원에서는 성인학습자가 가진 학습 본연에 대한 요구와 실용적 목적의 요구, 자아존중감 고취 목적 등에 대한 다면적 이해가 선행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둘째, 학교 차원에서는 학교와 지역을 연계하여 사업을 운영하는 것이 일·학습·가정의 병행에서 오는 어려움을 가진 성인학습자의 학습 장애요인을 제거하는 방안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제도 차원에서는 LiFE사업의 최대의 과제인 성인학습자의 기초수준 확보 문제와 입학기준 유연화 문제의 모순적 충돌구조를 개선하고 양립가능성을 탐구해야 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가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의 발전적 방향을 설계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하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논의점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ain issues occurring in junior colleges participating in the LiFE project, which is a lifelong education system support project for universitie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Republic of Korea, an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 phenomena of each issue factor. To this goal, using the case study research method,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adult learners, junior college officials, and professors of a college who participated in the LiFE project. The results first confirmed a multi-faceted understanding of the needs of the adult learners, the demands for practical purposes, and the goal of promoting self-esteem should precede at the adult learner level. Second, at the junior college level, it was confirmed that operating a project in connection with the junior college and the region could be a way to remove the learning obstacles of adult learners who have difficulties in balancing work, study, and family. Third, at the system level,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tradictory conflict structure between the problem of securing the basic level of adult learners and the problem of flexible admission standards, the biggest task of the LiFE project, should be improved and compatibility should be explor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