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Qualitative Case Study Regarding Meditation Experiences in Senescent Wome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혜리(Hye-Ri L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5호, 379~392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3.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노년기 여성의 명상체험 과정의 경험과 의미를 이해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2021년 2월부터 2021년 6월까지 명상을 수행한 70세 여성을 대상으로 참여관찰일지, 면담자료, 명상일지, 사진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질적연구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모든 자료는 에믹 코딩(emic coding)하여 자료의 패턴을 파악해 주제화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첫째, 명상체험의 경험과 의미는 ‘알아차림’, ‘되돌아봄’, ‘머무름’, ‘나아감’, ‘마음비움’의 다섯 가지로 주제화 할 수 있었다. 세부적으로 ‘알아차림’은 감각의 민감성, 새로움의 발견, 변화된 모습 세 가지로 범주화되었고, ‘되돌아봄’은 회상, 자기반성 두 가지로 범주화되었다. ‘머무름’은 지금집중, 행복, 감사 세 가지로 범주화되었으며, ‘나아감’은 좋은점, 변화하고 싶은 마음, 지속하고 싶은 마음 세 가지로 범주화되었다. ‘마음비움’은 내려놓음, 삶과 죽음, 편안함 세 가지로 범주화되었다. 결론 따라서 명상체험 과정은 노년기 여성의 신체적, 정서적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current study has set its purpose in acquiring a better understanding and meaning of meditation experiences in senescent women. Methods In order to fulfill the above mentioned purpose, necessary data was collected from 70-year-old women who performed meditation from February 2021 to June 2021 based on participation observation journals, interview data, meditation journals, and photographs, and analyzed implement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ll materials were emic-coded to identify patterns in the data and make them thematic. Results First, the experience and meaning of the meditation experience could be themed based on the following five categories: ‘Awareness’, ‘Looking back’, ‘Being present’, ‘Moving forward’, and ‘Mindfulness(emptying the mind)’. ‘Awareness’ was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sensitivity of the senses, discovery of novelty, and transformative aspects. ‘Looking back’ was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reminiscence and introspection. ‘Being present’ has been categorized into three categories: focus now, happiness, and gratitude, and ‘Moving forward’ is categorized into three categories: good points, readiness of the mind for change, and readiness of the mind for continuance. ‘Mindfulness’ was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letting go, life and death, and comfort. Conclusions Hence, it was evident that the meditation experience process in ques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both the physical and emotional changes for the senescent wome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