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ing Variables Affecting Future Job Decisions of University Students: Focusing on The Variables of High School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신영(Park Shinyoung) 정혜원(Chung Hyewo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5호, 473~49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3.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의 미래 직업 결정을 예측하는 고등학교 시기의 개인적⋅환경적⋅맥락적 변수를 탐색하고, 주요 예측변수들의 영향력이 어떠한지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한국교육고용패널Ⅱ 1차년도(고2), 2차년도(고3), 4차년도(대2) 7,984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예측변수를 탐색하기 위해 세 가지 머신러닝 기법을 적용하여 최종적으로 예측력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난 랜덤포레스트 기법을 활용하였으며,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통해 주요 예측변수들의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랜덤포레스트 분석 결과 대학생의 미래 직업 결정을 예측하는 주요 변수로 학교생활(5개), 진로계획 및 직업의식(9개), 일반적 특성(1개) 영역에 걸쳐 고등학교 시기의 15개 변인이 도출되었다. 둘째, 도출된 주요 예측변수의 영향력을 탐색하기 위한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분석한 결과, 고등학교 시기에 졸업 이후 진로에 대한 계획을 가질수록, 미래 직업을 결정했을수록, 여학생일수록, 대학생 시기에 미래 직업을 결정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종합적인 결과를 바탕으로 보다 효과적이고 실증적인 진로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personal, environmental, and contextual variables in high school that affect future career decisions of university students, an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variables. Methods For this study, 7,984 responses of the 1-wave(2nd grade in high school), 2-wave(a senior in high school), and 4-wave(university sophomore) of the second of the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KEEPⅡ) provided from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acational Education & Training(KRIVET) were used. In order to search for predictors, three machine learning techniques were applied to utilize the random forest technique with the best predictive power, and the influence of variables was analyzed using a logistic regression model. Result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15 high school variables were derived in the areas of school life, career planning and vocational consciousness, and general characteristics as major variables predicting future job decisions of university students. Second, the influence of major variables predicting future job decisions of university students were examined. University students future job decisions were higher when high school students have ‘career plans after graduation’ and ‘future job decisions’. And female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make future career decisions than male students. Conclusions Finally, based on the comprehensiv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more effective and empirical career education and directions for subsequent studie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