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ing Changes in Early Childhood-centered Free Play Time Operation of Beginning Teacher through Mentoring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임승렬(Lim, Seung-ryoul) 박소민(Park, So-mi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5호, 611~62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3.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멘토링 과정에서 초임교사의 유아중심 자유놀이시간 운영 변화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초임교사의 자유놀이시간 운영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을 시도하고자 하는 기관을 섭외한 후, 멘토링에 참여 의사를 밝힌 초임교사 2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멘토인 연구자는 연구 참여교사와 2019년 10월 10일부터 11월 29일까지 약 7주간 멘토링을 실시하였으며, 참여관찰과 면담, 미션 기록지, 교사 모임, 연구자 저널 등을 자료로 수집하였다. 결과 멘토링을 통하여 초임교사는 반성적으로 사고 할 수 있는 힘이 생겨났다. 이로써 초임교사는 유아중심 자유놀이시간 운영을 위한 교실 환경을 마련하고, 자유놀이시간 교사의 다양한 역할이 필요함을 인식하였다. 또한, 유아의 의견을 반영한 놀이계획을 수립하고 지원함으로써 교사중심에서 유아중심 자유놀이시간으로 운영하는 변화가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실행하는 교사의 개별적인 요구와 상황을 고려한 멘토링이 교사의 반성적 사고를 이끌고, 개정된 교육과정을 이해하며 전문성 신장에 긍정적 변화를 가져옴을 시사하고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changes in early childhood-centered free play time operation of beginning teacher in the mentoring process. Methods For the purpose, organizations were invited to try to operate child-and-play-centered curriculum, and two beginning teachers who expressed their intention to participate in mentoring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e study. The researcher who was a mentor conducted mentoring with the research participant for about 7 weeks from October 10 to November 29, 2019, and participation observations, interviews, mission records, teacher meetings, and researcher journals were collected as data. Results Through mentoring, beginning teachers have the power to think reflectively. As a result, beginning teacher prepared a classroom environment for the operation of infant-centered free play time, and recognized the need for various roles of teachers during free play time. In addition, by establishing and supporting a play plan that reflects the opinions of children, there was a change from teacher-centered to infant-centered free play time.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mentoring considering the individual needs and circumstances of teachers implementing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leads to reflective thinking of teachers, understands the revised curriculum, and brings positive changes to professional developmen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