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ing How Middle-School Students Identify and Justify Mathematical Pattern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류승혁(SeungHyuk Ryu) 김구연(Gooyeon K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5호, 665~679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3.15
국문 초록
목적 중학생들이 패턴 찾기 문제해결 과제 수행에 있어서 어떻게 패턴을 파악하여 정당화하는지 중학생들의 수학적 사고과정을 탐색하고자 시도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서 중학교 2학년 학생 35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결과 패턴 찾기 과제 수행에서 보이는 학생들의 사고과정은 양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주로 세거나(counting) 나열하며 규칙을 파악한다. 둘째, 학생들은 근거를 제시하지 않고 수식을 세워 이를 활용하여 답을 찾는 경향을 드러낸다. 셋째, 패턴의 구조를 적절히 파악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보인다. 넷째, 학생들은 제시된 패턴 찾기 과제를 생소하게 인식하며, 대다수의 학생들은 패턴 찾기 과제를 학교에서 다루는 수학 문제와 다른 것으로 간주하고 수학 수업에서 다루는 문제에 비해 어려운 내용으로 인식하였다. 결론 학생들은 대수적 방법에 의존하여 패턴을 찾는데 패턴의 구조를 적절히 인식하지는 못하였다. 또한 학생들은 대체로 패턴을 찾아 정당화 하는 설명을 작성하도록 하는 과제 수행에 있어서 대부분의 학생들은 충분한 근거를 제시하지는 못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explores how middle-school students identify patterns and justify the patterns identified. Methods For this, we developed a survey questionnaire that consisted of a set of pattern finding tasks and conducted a survey to 35 grade 8 students. Results From the data analysis, findings suggest as follows: a) the participants seemed to use counting or listing features in order to figure out a pattern, b) they showed tendencies to find out algebraic expressions such as equations without providing justifications, c) the middle school students appeared not to attempt to find out the structure of patterns given, finally d) the students recognized the pattern finding tasks in the survey as very unfamiliar, difficult and different tasks from ones they encounter in their mathematics classrooms. Conclusions The students seem to rely on algebraic manipulations without seeing structures of patterns given and unable to provide justifications for their claim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