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elescopic top-down Emergency Escape System Research
- 발행기관
- 한국화재소방학회
- 저자명
- 최규출(Kyu Chool Choi) 나판주(Pan Ju Ra)
- 간행물 정보
-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논문집』202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11~11쪽, 전체 1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1.25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국문 초록
도시 고층건축물 증가로 높은 시설물에서 재난 발생 시 수직 방향 피난은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소방관련법은 11층 이상 높이에서는 피난 기구 설치를 제외하고 있어 더욱 피난에 어려움이 생긴다. 우리나라 건축물의 경우 중앙에 코어부가 설치되는 사례가 많아 양 끝단에 있는 거실에서 중앙 코어부까지의 거리가 멀어 지면서 데드 앤드(dead end) 거리도 길어져 복도에 연기가 차는 경우 양방향 피난을 기대할 수 없다. 이처럼 양방향 피난이 어려운 경우 필수적으로 필요한 피난 기구가 화재 층 아래로 바로 피난이 가능한 승강식 피난 기구나 하향구 내림식사다리이다. 승강식피난기는 장애인 등 안전취약계층까지도 피난이 가능한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 피난 기구로 효용성이 더욱 뛰어나다. 이러한 승강식피난기는 추나 태엽과 같은 탄성에너지를 이용하여 복귀에너지로 사용하는 기술이다. 본 연구는 기존 승강식피난기에 사용되는 고정된 기둥 대신 텔레스코픽 왕복운동 장치를 사용하여 승강판을 지지하는 방식의 기술로 설치공간을 차지하는 기둥을 제거하여 공간적 편리함을 극대화한 피난 기구를 개발하는 연구이다. 피난 기구의 구성은 텔레스코픽, 승강대피부, 원심브레이크, 비상제어장치 등을 갖추어 최고 사용 하중 150킬로그램 까지 사용 가능토록 개발한다. 개발과정은 기본 설계 후 부품가공과 시작품 조립과정을 거처, 성능시험으로 마무리하게 된다. 성능 기준은 소방청 승강식피난기 기술기준에 따라 시험을 시행하여 합격하는 조건으로 개발된다.
영문 초록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