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ssessment of Water Cycle in Agricultural Watershed Based on Canal Network Modeling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2권1호, 33~43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2.28

국문 초록
기후변화, 유역환경변화, 사회⋅경제적 변화 등과 같은 다양한 요인으로 농촌유역 환경이 변화하고 있다. 지속가능하고 건전한 물순환을 위해 지역의 물순환 요소를 정확히 파악하고, 객관적인 정량화가 선행되어야 한다. 농촌유역은 단일 유역의 경우 상류부 유역, 저수지 제체, 하류부 관개 지역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강우량, 유출량, 증발산량, 공급량, 수요량, 회귀수량 등 물순환이 복합적으로 연계되어있다. 따라서 농촌용수 물순환 해석을 위해서는 농촌용수를 구성하는 요소별 해석, 모델링 및 모니터링 기법을 활용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농촌용수 요소별 물순환 분석 및 정량화를 위하여 경기도 안성시의 마둔저수지와 강원도 원주시에 위치한 흥업저수지를 대상으로 농업유역, 저수지의 시점부 수로, 말단부 수혜면적을 구분하여 용배수로를 통한 물공급 및 용수 배분을 모니터링 하였다. 또한 용배수로의 물공급 및 분배 모델링을 위하여 네트워크 요소의 수리학적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SWMM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모델링을 활용함으로써 유역 유출량, 수로부 공급량 및 배수량, 회귀수량을 추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 시공간적으로 상세화된 농촌유역 물순환 해석을 기초 모형을 구축하였으며, 향후 농촌수자원의 안정적인 공급과 농촌용수 물관리 정책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Recently, various factors such as climate change, watershed environment change, and, socio-economic change, have been shown to have a major impact on the hydrological water cycle and on available water resources in agricultural watershed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water cycle elements of watersheds accurately and to quantify them objectively. Agricultural watersheds can be divided into the basin, irrigation facilities such as reservoir and pumping stations, irrigation areas, and water cycle elements such as rainfall and evapotranspiration water supply and demand. A systematic management system of agricultural water cycle should be established through element analysis, module development, and modeling techniques for comprehensive interpretation of agricultural watersheds. This study involved the monitoring and modeling of inlet, outlet, and reservoir to analyze and quantify water cycle elements in the Madun reservoir (located in Anseong, Gyeonggi-do) and Heungeop reservoir (located in Wonju, Gangwon-do).
The watershed runoff, water supply and drainage of irrigation canal, and return flow were estimated using the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SWMM) based on analysis of canal networks and hydraulic calculations. These results can be utilized to ensure stable supply of agricultural water resources and to inform water management policies.
목차
1. 서 론
2. 연구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 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