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Operation Status and Effectiveness of Activities through Community Mapping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이종훈(Lee, JongHoon) 박상현(Park, SangHyun) 허보영(Heo, Boyoung)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2권1호, 251~258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2.28

국문 초록
커뮤니티맵핑은 지역 주민들이 관련 이슈를 수집 및 공유하고 활용함으로써 지역의 계획 수립 등 의사결정에 참여할 수
있는 참여형 지도 제작 활동을 말한다. 지역 주민들이 생활 환경에서 직접 관련 데이터를 발굴하기 때문에 정부 행정의
사각지대를 최소화할 수 있다. 커뮤니티맵핑은 이러한 특성을 토대로 개인, 단체, 지역을 상호 연결하여 지역사회에서 다양한 변화를 수월하게 추진할 수 있다. 국립재난안전연구원에서는 2016년부터 기관 및 단체를 대상으로 안전커뮤니티맵핑 교육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안전의식 변화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사전/사후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참여자들의 안전역량이 강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안전커뮤니티맵핑을 활용한 안전문화활동의 효과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효과를 바탕으로 지역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안전커뮤니티맵핑을 지속적으로 운영하여 커뮤니티의 환경을 개선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Local residents can use community mapping to identify local issues and participate in decision-making to establish development plans. Administrative blind spots can be minimized as local residents directly collect data within their living environments. Therefore, community mapping can promote various changes in the community by connecting individuals, organizations, and regions. The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has been supporting institutions in promoting safe community mapping activities since 2016.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community mapping survey for the analysis of change in safety consciousness, participants were able to strengthen their safety awareness and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safety-culture activities using community mapping. Based upon these effects, we expect to continue to operate community mapping to solve local problems and improve the community environment.
목차
1. 서 론
2. 선행연구 및 활용사례
3. 운영현황 및 안전의식 변화 분석
4. 결 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