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s on Situated Learning in School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진원(Jinwon Kim) 김승미(Seungmi Kim) 이혜미(Hyemi Lee) 채주혜(Juhye Cha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4호, 211~22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2.28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학교에서의 상황학습에 대한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학교라는 공간의 상황학습에 대한 현재 모습을 파악하고 미래 과제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0년부터 2019년까지 최근 20년간 연구된 국내 학술지 논문을 대상으로 학술 DB를 이용하여 교차 검색하고, 상황학습론을 반영한 학교기반 논문 49편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먼저 연도별, 연구분야별(학교급별, 교과분야), 연구방법별, 연구주제별로 분류하고, 빈도와 백분율로 연구 동향을 파악하였다.
결과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2010~2014년 시기에 학교에서의 상황학습에 대한 논문이 가장 많았다. 둘째, 학교 급별로 보면 대학에서의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교과분야별로는 실습중심 교과에서의 연구가 가장 많았다. 셋째, 다양한 연구방법이 활용되고 있었으며, 그 중 질적연구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넷째, 주요 연구주제는 상황학습과 흥미 및 태도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결론 학교에서의 상황학습이 다른 학습이론과 비교하여 뚜렷한 차별점이 무엇인지에 대한 상황학습의 본질을 탐구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도출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각도의 심층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n situated learning on school and to identify current situated learning on school and explore the further required study on school situated learning.
Methods The study analyzed 49 journal articles selected by researching journal articles on research information services DBs and sorting out the researches that conducted situated learning on school. Detail category were classified by year, research area(level of school and school subject), research method, research subject and detailed research trends were identified based on frequency and percentage.
Results Analysis research showed as follows: First, on perspective of year, majority of research was published on 2010-2014. Second, studies have primarily focused on university site and hands-on subject on school. Third, situated learning was researched based on various research method and qualitative research was the major part on them. Fourth, major research subject was the interest and attitude related on situated learning.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explore core of situated learning that is compared with the other learning theory. Furthermore,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in depth based on this identified research resul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