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s on Mor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Focusing on Research Cont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조은진(Cho, Eun-Ji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4호, 547~56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2.28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유아 도덕교육에 관한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앞으로의 방향 설정에 기여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내용의 전반적인 분석과 아울러 연구의 근간이 되는 이론적 경향을 알아보는 데 초점을 두었다.
방법 본 연구는 국내에서 발표된 유아 도덕교육 관련 학술지논문 및 학위논문을 분석하고 해석하는 문헌연구이다. 전반적인 연구내용을 비롯하여 연구에 사용된 이론적 접근법 및 도덕성 구성요소 등을 중심으로 총 221편의 연구(학술지논문 75편, 석·박사논문 146편)를 분석하고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다.
결과 유아 도덕교육 분야의 연구는 1990년 이후 크게 증가하였다. 분석된 221개의 연구 중 기초연구가 25.4%, 응용연구가 74.6%로 나타났고 응용연구는 주로 관련변인 탐색과 프로그램 개발 연구에 집중되어 있었다. 응용연구의 기반이 되는 이론은 인지발달론적 접근법이 압도적으로 많았고(56.9%), 그 다음으로 포괄적 접근법(19.3%), 전통적 접근법(17.5%), 배려지향적 접근법(6.3%) 순이었다. 또한 도덕성의 구성요소들(인지, 정서, 행동)을 함께 고려하기보다는 ‘도덕적 인지’ 한 요소만을 다루는 연구가 절반에 이르는(49.4%) 결과를 나타냈다.
결론 유아 도덕교육 분야의 연구내용(이론적 접근법과 도덕성 구성요소 포함)은 편향성에서 벗어나 균형을 이루고 다양화되어야 한다. 국내 유아 도덕교육 연구의 균형적 발전과 다양화를 위해 논의하고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aimed at analyzing the overall research trends on early childhood moral education focusing on research contents. It was also intended to analyze the theoretical trends underlying the study of early childhood moral education.
Methods This study is a literature study that analyzes and interprets academic articles and theses related to early childhood moral education published in Korea. A total of 221 studies(75 academic articles, 146 master’s and doctoral theses) were analyzed, focusing on overall research contents, theoretical foundations, and moral components.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obtained in the data analysis.
Results Research in this field has increased markedly after 1990. Among the 221 studies analyzed, 25.4% were basic studies and 74.6% were applied studies. The applied studies focused largely on relative variables and program development. The theory underlying applied research was predominantly the cognitive developmental approach(56.9%). It was followed by the comprehensive approach(19.3%), the traditional approach(17.5%), and the care-based approach(6.3%). The moral components(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 used in applied research were biased towards moral cognition(49.4%).
Conclusions Research contents(including theoretical foundations and moral components) in this field should be balanced and diversified for modern early childhood moral education in Korea. Future research consideration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