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ifferences in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level of generalized anxiety among adolesc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은향(Kim, Eunhya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4호, 599~612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2.28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범불안 경향성을 알아보고, 범불안 수준에 따른 청소년 삶의 질 차이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질병관리청에서 제공하는 제16차(2020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에 응답한 청소년 54,948명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범불안 수준과 함께 정신 건강, 신체 건강, 학업, 스마트폰 사용 등 삶의 질과 관련한 변인을 선정하였으며 복합표본설계에 근거하여 기술통계 및 빈도분석, 교차분석, 일원 분산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학교급과 성별, 가정 경제 수준에 따라 청소년의 범불안 경향성이 다르게 나타났다. 범불안 수준별 집단의 삶의 질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해 본 결과, 범불안 수준이 높은 집단일수록 일반 집단과 비교해 행복 수준이 낮고 스트레스 및 외로움을 더 느꼈으며, 건강 상태를 더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수면으로 인한 피로회복 정도도 낮았다. 더불어 학업성취 수준이 더 낮고, 스마트폰 사용 시간 및 의존도는 더 높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 청소년의 상당 비율이 범불안 증상을 경험하고 있으며, 그 수준이 증가할수록 학업은 물론 신체적·정신적 건강 상태 등 청소년 삶의 질이 나빠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d the tendency of generalized anxiety among Korean adolescents and analyzed the differences in the quality of life of them according to the level of generalized anxiety.
Methods Data from 54,948 adolescents who responded to the 16th year (2020) survey on adolescent health behavior provided by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were used. As variables, general anxiety level and quality of life such as mental health, physical health, schoolwork, and smartphone use were selected. Based on the complex sample design,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crossover analysis, and one-way ANOVA were performed.
Results The tendency of adolescents s generalized anxiety differed from school level, gender, and family economic level.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quality of life by the GAD level, the higher GAD goup showed lower the happiness, higher stress and loneliness compared to the general group. And they preceived worse either health status and degree of recovery from fatigue was also low. Their academic achievement was lower, and the time and dependence on smartphones were higher than the others.
Conclusions Through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a significant proportion of domestic adolescents suffered from generalized anxiety symptoms, and as this tendency increased, their academic and physical and mental health deteriora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