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ontent Analysis of Domestic Journal Articles in 2001-2020 Related to the Physical Activities of Young Children Using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Method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오지은(Oh, Jee-Eun) 채진영(Chae, Jin-Yo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4호, 709~723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2.28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는 한국학술지인용색인(Korea Citation Index, KCI)에 탑재된 국내 학술지 논문 가운데 영유아 신체활동과 관련한 연구의 키워드 분석을 통해 연구 내용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KCI의 검색엔진에 ‘영아 신체활동’, ‘영아 동작’, ‘유아 신체활동’, ‘유아 동작’ 등 4가지 검색어를 각각 입력하여 2001년부터 2020년까지 게재된 총 866편 가운데 2번의 데이터 정제과정을 거쳐 최종 479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EXTOM 5.0과 UCINET 6.0을 이용하여 빈도, 워드클라우드, 연결중심심성, TF-IDF, N-gram, CONCOR분석 등을 수행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출현빈도가 가장 높은 키워드는 ‘신체활동’, ‘유아’, ‘창의성’, ‘유아동작교육’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출현 빈도와 비슷하게 연결중심성 지수가 높은 키워드는 ‘신체활동’, ‘유아’, ‘창의성’, ‘프로그램’ 등이었으며, TF-IDF도 연결중심성에서 나타난 순위와 대부분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시각화한 N-gram에서는 ‘신체활동→프로그램’, ‘신체활동→유아’, ‘유아→신체활동’, ‘유아→동작교육’, 등의 화살표가 굵게 나타나 해당 키워드가 동시에 연쇄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음을 알 수 있었다. 구조적 등위성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 CONCOR 분석에서는 ‘신체활동’, ‘정서지능’, ‘창의성’, ‘유아동작교육’ 등을 중심으로 4개의 군집이 형성되어 관련 연구 키워드가 도출되었다.
결론 이 연구를 통하여 최근 20년간 영유아 신체활동 관련 연구의 동향이 파악되었으며, 이를 토대로 후속 연구의 방향성이 제안되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keywords in the domestic journal articles published in 2001-2020 regarding the physical activities of young children.
Methods The total 866 target journal articles were selected in Korean Citation Index searched through ‘infant physical activity’, ‘infant movement’, ‘young child physical activity’ and ‘young child movement’. After preprocessing of the raw data twice, the Korean keywords from the final 479 articles were selected.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frequency, word cloud, degree centrality, TF-IDF, N-gram, CONCOR, using TEXTOM 5.0 and UCINET 6.0.
Results First, the most frequently prevalent keywords were ‘physical activity’, ‘young child’, ‘creativity’. etc. Second, the results of degree centrality and TF-IDF were similar as the most frequently prevalence. N-gram visualized that ‘physical activity’ was often chained with ‘program’ and ‘young child’. In order for the structural equivalence, CONCOR analysis was conducted and visualized in four groups.
Conclusions Through this study, the trend of research related to physical activity of young children over the past 20 years has been identified, and the direction of follow-up research has been proposed based on thi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