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Multiple case studies on how Christian faith vision triggers directed motivational currents in English learning
이용수 113
- 영문명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장가요(Jiale Zhang) 김정인(Jungyin K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4호, 769~783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2.28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영어학습에서 학생의 유도된 동기적 격동을(DMC)의 유발 요인을 조사하였다.
방법 이 질적 연구는 2021년 3월부터 2021년 8월까지 진행되었습니다. 연구원은 중국에서 4명의 중국 기독교 대학원생을 참가자로 선택하고 인터뷰, 교실 관찰 및 문서에서 데이터를 수집했습니다. 수집된 데이터는 두 번 코딩되었고 연구 목표와 결합되어 영어 학습에서 참가자의 DMC를 탐색했습니다.
결과 연구 결과는 참가자들이 영어 학습과 기독교 신앙에 대해 비슷한 비전을 공유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이 외에 비전은 현저한 촉진(SF) 구조를 포함합니다. 이 비전은 참가자들이 SF 구조에서 영어 학습 습관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비전이 영어 학습에서 정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결론 연구 결과를 사용하여 학생과 교사를 위한 권장 사항을 제안했습니다. 학생들은 낙관을 유지하여 명확한 학습 습관을 길러야 하며 교사는 명확한 학습 목표를 설정하면서 학생들이 스트레스와 좌절에 대처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합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riggering element of students’ directed motivational current (DMC) in English learning.
Methods This qualitative study took place from March 2021 to August 2021. The researcher selected four Chinese Christian postgraduate students as focal participants in China and collected data from interviews, classroom observations, and documentation. The collected data were coded twice and combined with the research objectives to explore participants DMC in English learning.
Results The findings showed that participants shared similar visions for English learning and Christian faith. Moreover, the vision involves a salient facilitative (SF) structure. This vision helped participants maintain their English learning habits in the SF structure. Finally, we discovered that vision could influence emotion in English learning.
Conclusions Using the study’s findings, we proposed recommendations for students and teachers. The students should remain optimistic about developing definite learning habits, and the teacher should help students cope with stress and frustration while setting clear learning goals.English learning, directed motivational currents (DMC), Christian vision, salient and facilitative (SF) structure, emotion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Framework and Literature Review
Ⅲ. Methods
Ⅳ. Data findings
Ⅴ. Discussion
Ⅵ. Conclusion and Implications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