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s of Career Decision Level and Musical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University Students’ Curriculum Satisfac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하봉선(He Fengxia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4호, 903~917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2.28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중국 음악전공 대학생들의 교육과정과 운영체제 만족이 진로결정수준을 통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가 음악적 자기효능감에 의해 조절되는지를 검증하는데 두었다.
방법 연구대상은 중국의 음악전공 대학생 472명(관현악 115명, 성악 126명, 피아노 127명, 음악교육 104명)이 선정되었다. 자료는 교육과정과 운영체제 만족, 음악적 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을 측정하는 4개의 질문지를 통해 수집되었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결과 위계적 회귀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음악전공 대학생의 교육과정과 운영체제에 대한 만족은 진로결정수준을 통해서 뿐만 아니라 직접 진로준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2) 음악전공 대학생의 교육과정과 운영체제에 대한 만족과 음악적 자기효능감이 상호작용하여 진로결정수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3) 음악전공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음악적 자기효능감이 상호작용하여 진로준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결론 이들 결과는 교육과정과 운영체제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중국 음악대학 학생들이 음악적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 수준이 높을수록 진로준비행동이 높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whether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moderate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 leve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university students’ satisfaction with music curriculum and administration systems.
Methods Subjects were 472 Chinese undergraduate students (115 instrumental music, 126 vocal, 127 piano, 104 music education) who are majoring in music.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t of questionnaires measuring curriculum and administration system, musical self-efficacy,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Data were conducted via descriptive statistic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were as follows: (1) University students’ satisfaction with curriculum and its administration system have positively an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throughout career decision level. (2) The inter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satisfaction with curriculum and its administration system and musical self-efficacy have a positive impact on career decision level. (3) The inter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cision level and musical self-efficacy have a positive impa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hinese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music who showed high satisfaction with their curriculum and its administration are inclined to have high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when their musical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level are high.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