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helpless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신희(Lee, Shin hee) 김연수(Kim, Yeonsoo)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3호, 1~13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2.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학업적 지연행동 간의 관계에서 학습 무기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20년 6월부터 8월까지 J지역의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만 19-29세의 남녀 대학생 325명(남 49명, 여 276명)을 대상으로 사회부과 완벽주의, 학업적 지연행동, 학습 무기력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사회부과 완벽주의, 학업적 지연행동, 학습 무기력 자료에 대해 기술통계와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학업적 지연행동 간의 관계에서 학습 무기력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부트스트레핑을 통하여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결과 대학생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학업적 지연행동,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학습 무기력, 학업적 지연행동과 학습 무기력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또한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학업적 지연행동 간의 관계에서 학습 무기력의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부과 완벽주의 경향을 보이는 대학생들의 학업적 지연행동을 경감시키기 위해서는 학습 무기력의 영향을 감소시키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helpless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Methods From June 2020 to August, A total of 325 undergraduate students(male 49, female 276)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took a survey using the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MPS), academic procratination(Aiken Procrastination Inventory: API), and academic helplessnes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bootstrapping was applied to verify for mediating effect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mong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cademic procrastination, and academic helplessness,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Second, academic helplessness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academic helplessness focused interventions may be effective for the academic procrastination of people with a high tendency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The implications of this results were discussed and the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s of this study were sugges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