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arly childhood teacher’s appearance through photo-voice exploring the meaning of relationship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정주(Kim, Jung Ju) 김은정(Kim, Eun J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3호, 465~479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2.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관계맺기에 대한 의미를 그들의 경험을 토대로 알아보고 의미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2021년 3월부터 6월까지 4개월 간 어린이집과 유치원 교사 10명을 대상으로 포토보이스 방법론을 활용하여 관계맺기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위해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는 준비, 조사, 분석, 공유의 절차로 진행되었고, 자료의 분석은 자료와 친숙해지기, 코딩하기, 주제 찾기, 주제를 재검토화하기, 주제 명명하기, 보고서 작성하기 등의 6단계로 이루어졌다.
결과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영유아교사의 관계맺기에 대한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교사는 관계맺기의 주요한 대상을 영유아, 학부모, 동료교사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영유와의 관계맺기는 ‘관찰하고 이해하는 관계’, 학부모와의 관계맺기는 ‘맞추고 맞추며 또 맞추는 관계’, 마지막으로 동료교사와의 관계맺기는 ‘같은 길로 뛰는 관계’로 이해하고 있었다. 둘째, 영유아교사의 관계맺기에 대한 의미를 살펴본 결과, 관계맺기를 위한 필요 요소가 있으며, 필요 요소로 ‘긍정적 이미지로 행동’하며, 다양한 사람과의 관계에서 ‘조화와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의미를 도출하였다.
결론 진정한 의미에서의 소통과 협력적 관계맺기에 대해 영유아교사 개인차원을 넘어서 공동체 차원에서의 고민과 조력이 뒷받침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mean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elationship and to explore the meaning based on their experiences.
Methods For this purpose, a study was conducted for 4 months from March to June 2021 with 10 teachers using the photo-voice methodology for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ir relationship.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the process of preparation, investigation, analysis, and sharing, and the analysis of the data was done in six steps; familiarising yourself with your data, generating initial codes, searching for themes, reviewing themes, defining and naming themes, and producing the report.
Results The mean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through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main targets of establishing relationships were childrens, parents, and fellow teachers,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with childrens was understood as a ‘observation and understanding relationship’, the relationship with the parents as a ‘match, match, and match relationship’, and finally the relationship with a fellow teacher as a ‘relationship running on the same path’.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aning of relationships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there were elements necessary for establishing relationships and what it meant was that it was necessary to act with a positive image and to maintain harmony and balance in relationships with various people.
Conclusions For communication and cooperative relationships in the true sense, it suggests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should be supported by their concerns and assistance at the community level, beyond the individual level.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