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eacher Perception of Future-oriented English Lesson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민찬규(Chan Kyoo Mi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3호, 599~61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2.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전국의 초, 중등 영어 교사를 대상으로 미래사회를 대비한 학교 영어 수업이 나아가 갈 방향을 살펴보고 교사들이 어떤 준비를 해야 할 것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전국의 초, 중등 현직 교사를 대상으로 2021년 10월 20일부터 23일까지 전자 방식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 구성은 기본 정보를 알아보는 2문항과 미래지향적 영어 수업과 관련하여 수업 목표, 수업 내용 및 수업 방법, 교사 전문성 및 역할, 그리고 선제 조건 등에 관해 묻는 9개 문항 등 모두 11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설문 분석은 응답 수와 백분율로 나타내어 응답의 경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결과 첫째, 미래지향적 학교 영어교육은 현행 학교 수업에서 목표로 삼고 있는 학습자의 영어 지식이나 사용 능력 함양뿐 아니라 국제적 감각이나 다양한 영역 정보 및 지식 습득을 위한 영어 능력 함양 등을 중요한 목표로 보고 있었다. 둘째, 수업 방식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합쳐진 블렌디드 수업 방식을 선호하고 있었지만, 이 두 수업 방식을 어느 비율로 활용할지에 대해서는 교사 간 의견이 나뉘었다. 셋째, 미래지향적 영어 수업을 이끌 교사가 가져야 할 전문성으로는 효과적인 수업 설계 능력과 수업 운영의 유연성, 신과학기술 활용 능력 등을 중요하게 꼽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교사들은 미래지향적 영어 수업에서도 학습자의 수업 참여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결론 미래지향적 영어 수업이 학교 현장에 정착되기 위해서는 교육 정책 당국이나 교사 모두 미래지향적 영어교육의 방향, 교수-학습 활동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가져야 하며, 교사 연수나 연구 활동을 통해 새로운 영어 수업이 학교 현장에서 제대로 펼쳐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teacher s perception of the future direction of school English lessons and find out what preparations they should make.
Methods For this, a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 20 to Oct. 23, 2021 to 94 elementary and secondary English teachers nationwide with 11 questions about the lesson goal, the teaching method, the teacher expertise and roles, and the prerequisite concerning implementing future-oriented English lessons.
Result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uture-oriented school English education should aim not only to develop learners English communication ability but to develop English ability for acquiring information and knowledge in various fields. Second, teachers perferred a blended teaching approach, but opinions differed with the ratio of these two teaching approaches to use. Third, teachers who would lead future-oriented English lessons should have the ability to design lessons effectively, flexibility in class operation and management, and a capability to utilize technology. Finally, teachers viewed learners participation in class as the most critical factor affecting the implementation of future-oriented English lessons.
Conclusions For future-oriented English lessons to be implemented effectively in school settings, teachers should make an effort to participate in continuous training and conduct research to improve the lesson planning and execu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설문 결과 분석
Ⅴ. 논의 및 교육적 함의
Ⅵ.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