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n Professors’ and Students’ Perception of Syllabus at Universit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전영미(Jeon Young Mee) 조진숙(Cho Jin Su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2호, 215~228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1.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 중심의 대학 수업계획서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기존 수업계획서에 대한 교수와 학생의 인식을 분석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대학에 재직 중인 교수 267명과 학생 33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대학 수업계획서의 구성요소별 내용제시의 구체성, 구성요소별 중요도, 수업계획서의 활용과 만족도 및 개선 요구사항에 대한 교수와 학생의 인식을 분석하기 위해 기술통계, 빈도분석, t-test(평균비교),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 대상인 수도권 소재 대학의 교수와 학생의 설문 조사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수업계획서의 구성요소별 내용제시의 구체성, 구성요소별 중요도, 수업계획서의 활용과 만족도 등에서 교수와 학생 간의 인식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수업계획서의 구체성이나 만족도에서는 교수들이 학생보다 더 긍정적인 의견을 보였으며, 수업계획서 구성요소별 중요도에 대해서는 강의개요나 목표, 내용 등은 교수가, 강의내용과 수업방법, 주차별 학습정보 등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학생이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결론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현재의 대학 수업계획서가 교수 중심의 수업계획서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학생 중심의 수업계획서로 개선되기 위해서는 학생의 학습을 촉진하는데 도움이 되는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수업계획서 양식이 수정되어야 하며, 각각의 구성요소가 좀 더 구체적으로 제시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언하였다. 또한 학생의 의견이 반영될 수 있는 통로가 마련되어야 한다는 것과 학생 중심 수업계획서 개발에 대한 교수 대상 워크숍 및 작성된 수업계획서에 대한 피드백 시스템을 갖출 것 등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professors’ and students’ perception of syllabus at university to improve the syllabus as a tool for student-centered learning.
Methods For this, professors’ and students’ perception of syllabus were analyzed. 267 professors and 334 students at university, located in a capital area, participated. The major research method was a questionnaire survey, and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ANOVA were used.
Results It was conducted in terms of the following categories: specificity of syllabus, importance of syllabus
components, syllabus usage, and satisfaction about the syllabus. As a result of analyzing responses from participants,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were found in every category.
Professors showed more positive perception at the specificity of syllabus and satisfaction. As for the importance of syllabus components, professors responded more significantly in the components of the course outline, goal, and content. But students responded more significantly in the components of the course content, learning method, and weekly learning information.
Conclusions Form these result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current syllabus is a professor-centered one. To
improve this into student-centered syllabus, some suggestions were made. First, syllabus form should be modified
around the components helping student-centered learning. Second, the syllabus should be presented more
concretely. Additionally a channel to interact with the students needs to be arranged more. Workshops for professors and a system for feedback on the syllabus are also requir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