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Lexical Richness in the Writing of Japanese Korean Learn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민수(Kim, Minsoo)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2호, 263~28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1.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일본인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에 나타나는 어휘 풍요도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어휘 지도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얻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한국어능력시험(TOPIK) 초급 쓰기 문항의 모범 답안(T) 2편, 국립국어원의 말뭉치에서 수집한 일본인 초급 학습자(C)의 자기소개문 2편, 일본의 대학에서 한국어를 학습하는 일본인 초급 학습자(J)의 자기소개문 29편에 대해 어휘 구현(Token) 과 어휘 유형(Type)을 각각 산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어휘 다양도(TTR), 어휘 밀도(LD), 어휘 세련도(LS)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평균 어휘 수는 T>C>J의 순으로 J가 가장 적었으나, 평균 어휘 유형 수는 T>J>C 순으로 C가 가장 적게 나타났다. 평균 TTR에서는 J>T>C 순으로 J가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세 집단의 평균 어휘 밀도(LD)는 T>J>C 순으로 나타났고, 평균 어휘 세련도(LS)는 J>C>T 순으로 J가 가장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J는 일정한 시간 내에 많고 다양한 어휘를 생산해 내는 학습자와 그렇지 못한 학습자의 격차가 있으며, 특히 동사와 조사에 대한 지도 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일본인 한국어 초급 학습자의 어휘 사용 양상과 관련된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어휘 풍요도 척도를 학습자의 어휘 능력을 판단하는 지표로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대해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s the lexical richness in the writing of Japanese beginner Korean learners and raises
implications for lexical education.
Methods For this purpose, the Token and Type of were calculated for two model answers (T) to the TOPIK writing
test. In addition, two self-introduction letters of Japanese beginner learners (C) from the corpu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and 29 self-introduction letters of Japanese beginner learners (J) studying Korean
at a university in Japan, were collected. Based on these, the lexical diversity(TTR), lexical density(LD), and lexical sophistication(LS) were compared and analyzed.
Results As for the total average number of Token, J had the smallest number (T>C>J), but C showed the smallest
number of average Type (T>J>C). Regarding the average TTR, J showed the highest ratio (J>T>C). The average LD
of the three groups was T>J>C, and the average LS of the three groups was highest in J (J>C>T). In addition, J exhibited a disparity between learners who produced a variety of vocabulary within a certain time period and those
who did not, indicating the need to strengthen instruction on verbs and particles.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educational implications related to the lexical usage patterns of
Japanese beginner Korean learners were presented, and how lexical richness can be used as an index to judge
learners’ lexical abilit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