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Burnout and Resili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eacher-children Interac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장희선(Jang, hee sun) 백영숙(Paik, Young Suk) 오현숙(Oh, Hyun Su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2호, 379~392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1.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영유아 교사의 소진과 회복탄력성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K시와 J도의 영유아교사 372명을 대상으로 영유아 교사의 소진, 회복탄력성,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을 검사하기 위해 설문도구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 18.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상관을 알아보기 위해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는 첫째, 영유아교사의 소진, 회복탄력성, 교사-영유아상호작용 세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소진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 모두 의미 있는 부적 상관, 회복탄력성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 모두 의미 있는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영유아교사의 소진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부적인 방향으로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 되었으며, 영유아 교사의 회복탄력성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소진을 회복탄력성을 통해 완화시킬 수 있으므로 회복 탄력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사교육 기초자료를 제공함과 동시에 긍정적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놀이지원 실행을 위한 상호작용기법 제공 등 다양한 연수 및 행⋅재정적 방법 모색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burnout and resili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eacher-children interaction.
Methods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tool was used to examine early childhood teachers’ burnout, resilience,
and teacher-children interaction targeting 372 early childhood teachers from K city and J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PASW 18.0. To find out the correlation,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calculated,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first, from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correlation among the three variables of burnout, resilience, and teacher-children interac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burnout and the teacher-children interaction, a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resilience and the teacher-children interaction.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burnout of early childhood teacher had a negative effect on teacher-children interaction and that resili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 had a positive effect on teacher-children interaction.
Conclusions Therefore, through this study, as burnout, which has a negative effect on teacher-children interaction, can be alleviated through resilience, while providing basic materials for teacher education that can improve resilience,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seek various training and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methods such as providing interaction techniques for play support implementation of positive teacher-children interac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