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mindset between creative home environment and life satisfaction of high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민정(Minjeong K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2호, 443~453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1.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삶의 만족도와 가정환경, 개인의 심리적인 변인 간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고, 삶의 만족도에 대한 창의적 가정환경의 영향이 개인의 심리적 변인인 능력신념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하여 나타나는 양상을 살펴보는 것이다.
방법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기, 강원, 부산, 전남 지역의 고등학교를 편의표집하였으며 해당 학교에 재학 중인 2학년 학생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을 적용하였으며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고등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대한 창의적 가정환경, 자아존중감의 영향력이 확인되었으며 창의적 가정환경과 삶의 만족도 간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삶의 만족도에 대한 창의적 가정환경의 영향력은 자아존중감을 매개하는 경로가 가장 큰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고등학생의 삶의 만족도 증진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창의적 가정환경이 고등학생의 심리적 특성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중요성과 전반적인 연구 결과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mindset and self-esteem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life satisfaction and creative home environment.
Method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50 second-year students attending
high schools in Gyeonggi, Gangwon, Busan, and Jeonnam region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a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AMOS 23, SPSS 23) by apply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influence of creative home environment and self-esteem on life satisfaction
of high school students was confirmed,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between creative home environment
and life satisfaction was verified.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ays to improve life satisfaction of high school students were discussed and implications were presen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