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송은(Song-Eun L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2호, 597~613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1.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한국 대학의 영어 쓰기 교육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탐색하고, 학생, 교수진, 교육기관의 특정한 요구사항을 면밀히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는 기관 사례 연구로서 한 공과 대학(가칭)이라는 연구지를 선정하여 수업 참관, 교과관련 문서 분석, 학생, 교수자, 프로그램 책임자와의 반구조화 심층 인터뷰를 통하여 방대한 질적 자료를 수집하였다.
결과 한 공과대학에서는 영어 쓰기 교육이 체계적이고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특정 목적을 지닌 교육 기관인 만큼 학생들과 교수자들도 영어 쓰기에 대한 구체적이고 특정한 요구/필요 사항을 지니고 있었다. 학생들은 현재 받고 있는 것보다 양적으로 더 많고, 자신의 궁금증을 해소해줄 수 있는 심도 있는 피드백을 원했으며, 교수자에 대해서는 교수자의 언어적 배경보다는 영어 쓰기에 대한 전문성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결론 고등교육 기관인 대학은 학생들에게 특정 목적과 구체적인 요구 사항을 충족시켜줄 수 있는 체계적인 영어 쓰기 교육을 제공해야 하고, 이를 위해 학생들, 교수진, 기관 자체의 요구/필요 사항을 정확하게 분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study explores how English writing is being taught and learned in real educational settings in
Korean higher education and examines student, faculty, and institutional needs in learning and teaching English
writing.
Methods The study primarily adopts a situated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an institutional case study of a
university. Qualitative data were garnered from a research site, Han Technology University (HTU)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s of classes, consultation of course documents, and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ith students, instructors, and an administrator associated with English writing.
Results English writing is being actively and systematically taught at the research site; students have strong and
specific needs for English writing depending on their disciplines, internal motivation, and personal goals. Additionally, students desire more and further feedback on their writing than what they have currently been receiving; they value teachers’ expertise to teach writing regardless of their language background.
Conclusions Higher education is expected to provide its students with purpose/needs specific English writing instruction according their disciplines; to this end, understanding student, faculty, and institutional specific needs for English writing at local educational settings is significant.
목차
Ⅰ. Introduction
Ⅱ. Review of the Literature
Ⅲ. Research Design and Methods
Ⅳ. Findings
Ⅴ. Discussion &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