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Korean Language Learning Using MALL: Focused on Advanced Learners in Oversea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조영미(Young Mi Cho) 한혜민(Hae Min Ha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2호, 737~753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1.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MALL(Mobile-assisted Language Learning)을 활용한 자기주도학습으로 한국어 고급 학습자들이 한국어 학
습을 지속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에 해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모바일 기기를 활용해 시공간 등 물리적인 제약을 극복하고 한국어문화 능력과 상호문화능력 향상을 이끄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대만과 홍콩 고급 수준의 학습자 7명 대상으로 질적 연구의 하나인 실행 연구를 진행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는 실행연구의 과정인 계획-실행-반성-평가의 순환적 과정을 따랐으며 기간은 3개월로 1, 2, 3차에 나누어 진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사전 설문 조사, 학습자 쓰기 결과물, 포커스 그룹 인터뷰, 학습자 성찰 노트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3개월 동안 진행한 MALL 활동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MALL은 학습자들에게 비형식 학습의 틀을 제공한다. 둘째, MALL은 학습자들의 상호문화 능력을 향상시킨다. 셋째, MALL은 꾸준한 한국어 학습을 하게끔 학습자들을 이끈다. 넷째, MALL에서는 학습자들의 협력학습을 기대할 수 있다.
결론 본고의 MALL 활용 한국어 학습 교육 방안은 정규과정에서 한국어 학습을 지속할 수 없는 고급 학습자들이 학습자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시간과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는 모바일 기기의 이점을 활용하여 학습자가 원하는 시간에 학습을 진행할 수 있다. 이로써 다양한 수준의 학습자들은 교수자들과 함께 자발적으로 한국어 지식 및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협력 학습을 지향해 학습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how to continue learning Korean through self-directed learning
using Mobile-assisted Language Learning (MALL) for advanced Korean learners. Therefore, this study finds how
to help Korean learners in overseas overcome physical limitations such as time and space, and lead to the improvement of Korean cultural ability and intercultural ability by using mobile devices.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action research, which is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Target is 7 advanced
learners in Taiwan and Hong Kong. This study is followed the cyclical process of action research, such as planning-implementation-reflection-evaluation. The period was three months, and conducted three sessions. In this
study, pre-survey, learners writing, focus group interview, and learners reflection notes were analyzed.
Results Firstly, MALL provided learners the framework for informal learning. Secondly, MALL improved learners’
intercultural abilities. Thirdly, MALL leaded learners to learn Korean continuously. Lastly, learners can conduct cooperative learning.
Conclusions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using MALL has the advantage that advanced learners who cannot
continue learning Korean, can participate in the learning. They can learn at any time they want by utilizing the advantages of mobile devices that are not restricted by time and place. This will maximize the learning effect by aiming for cooperative learning by voluntarily sharing Korean knowledge and information with learners and teachers at various level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연구 방법
Ⅳ. MALL 활용 한국어 교육 방안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